블로그 이미지
세상에 떠도는 수많은 느낌과 아이디어! 같은 느낌, 비슷한 생각.... 어때요? wizysl

카테고리

전체보기 (5128)
ysl* 아이디어 (346)
ysl* 사람들 (552)
ysl* ndns 내돈내산 (134)
ysl* 맛 (278)
ysl* 건강 (34)
ysl*sports (9)
ysl* 컨텐츠 (1827)
ysl* 이미지 (124)
ysl* 디자인 (245)
ysl*book or url (395)
맛과 멋 (7)
그한마디 (158)
ysl* music (224)
개그유머 (85)
ysl* movie drama (463)
ysl*estate (13)
ysl* comics game (113)
ysl* 트래블 (543)
ysl* 랭킹 (221)
ysl* 하드웨어 (377)
ysl*mobile (316)
맥HW (93)
맥SW (198)
맥Korea (81)
ysl*admin (1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4.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2004년 여름 미국 플로리다는 폐허였다. 허리케인 찰리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도시는 마비됐다. 사망 22명, 재산 피해 110억 달러. 혼란은 허리케인이 지나간 뒤 더 커졌다. 상인들의 가격 폭리 때문이다. 2달러이던 얼음주머니를 10달러나 받았다. 집을 잃은 사람들이 찾은 모텔에서는 방값을 160달러나 불렀다. 주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자연재해로 인한 고통을 먹잇감으로 이용하는 장사꾼을 약탈자라고 비난하는 여론이 들끓었다. 플로리다에는 마침 ‘가격폭리처벌법’이 있었다. 2000건이 넘는 신고가 들어왔다. 이 결과 일부 숙박업소는 벌금 7만 달러를 내고 추가로 받은 숙박료를 투숙객에게 돌려줘야 했다. 주민들의 가슴은 ‘뭉클’했다. 정의가 승리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정의, 도전을 받았다. 그것도 자유주의 경제학자들로부터다. “시장이 견딜 만한 값을 요구하는 건 탐욕도 뻔뻔스러움도 아니다. 그것은 재화와 용역이 분배되는 방식이다”. 언뜻 터무니없어 보이는 가격이지만 이로 인해 공급업자는 생산량을 늘리고, 수요자들은 불필요한 소비를 줄였다. 그래서 실보다 득이 많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

이후의 상황은 뻔하지 않은가. 비양심적인 가격(?)은 다시 절충점을 찾았다. 그래서 질문이 나온다. ‘무엇이 약자를 위하는 길인가.’

이 논쟁, 이 땅에서 지금도 이어진다. 이명박 대통령이 캐피털사의 개인 신용대출 금리가 높다고 지적하면서 다시 불이 붙었다. 대통령은 금융회사가 저소득 서민들에게 값싼 이자로 대출해 주었으면 한다. 대통령의 뜻대로만 된다면야 상상만으로도 멋지다. 그렇지만 이런 금융사, 우리 사회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회사가 자선단체가 아닌 한 돈을 떼일 염려가 큰 사람에게, 그것도 싼 이자로 돈을 빌려 줄 리 없다. 있다고 한들 오래 버티지 못한다. 저신용자가 빚을 갚지 않을 확률이 높아 결국 금융사가 망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금융사가 쓰러지면 그 부실을 국민의 세금으로 메우기 일쑤다.

서민, 농민 등을 약자로 치는 건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약자만 보면 가슴이 찡해지면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나서는 ‘뭉클주의’는 해법이 아니다. 부동산 문제도 그렇다. 집 한 채가 전 재산인 서민들이 집값이 떨어지자 아우성이다. 집 사느라 빚도 많이 냈지만 갚기도 힘겹다. 앞으로도 시장 전망은 어둡다. 공급이 넘치는 데다 투자심리도 꺾였다. 그렇다고 이들이 서민이고 약자라는 이유로, 집값이 올라 생긴 이득은 자신이 갖고, 떨어져 생긴 손실은 사회가 떠안는다면 시장에 질서가 잡히겠는가. 자신이 결정한 투자에 대해 책임지는 게 이 사회의 법칙이다.

약자를 보살피는 건 사회의 책임이지만 착한 정책만으로는 곤란하다. 이들에게 물고기를 주지만 말고,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건 굳이 말할 필요가 없다. 뭉클주의 대신 냉정한 판단이 필요한 때다.

김종윤 경제부문 차장 김종윤 기자 [yoonn@joongang.co.kr]

http://www.google.co.kr/search?hl=ko&newwindow=1&client=firefox-a&hs=Sls&rls=org.mozilla%3Aen-US%3Aofficial&q=%EB%AD%89%ED%81%B4%EC%A3%BC%EC%9D%98%EB%8A%94+%ED%95%B4%EB%B2%95%EC%9D%B4+%EC%95%84%EB%8B%88%EB%8B%A4&aq=f&aqi=&aql=&oq=&gs_rfai=
Posted by wizysl
, |

Publish or Perish

Can the iPad topple the Kindle, and save the book business?

by Ken Auletta April 26, 2010, New Yorker Magazine


In some circles, the iPad was known as

In some circles, the iPad was known as “the Jesus tablet.”

On the morning of January 27th—an aeon ago, in tech time—Steve Jobs was to appear at the Yerba Buena Center for the Arts, in downtown San Francisco, to unveil Apple’s new device, the iPad. Although speculation about the device had been intense, few in the audience knew yet what it was called or exactly what it would do, and there was a feeling of expectation in the room worthy of the line outside the grotto at Lourdes. Hundreds of journalists and invited guests, including Al Gore, Yo-Yo Ma, and Robert Iger, the C.E.O. of Disney, milled around the theatre, waiting for Jobs to appear. The sound system had been playing a medley of Bob Dylan songs; it went quiet as the lights came up onstage and Jobs walked out, to the crowd’s applause.

In the weeks before, the book industry had been full of unaccustomed optimism; in some publishing circles, the device had been referred to as “the Jesus tablet.” The industry was desperate for a savior. Between 2002 and 2008, annual sales had grown just 1.6 per cent, and profit margins were shrinking. Like other struggling businesses, publishers had slashed expenditures, laying off editors and publicists and taking fewer chances on unknown writers.

The industry’s great hope was that the iPad would bring electronic books to the masses—and help make them profitable. E-books are booming. Although they account for only an estimated three to five per cent of the market, their sales increased a hundred and seventy-seven per cent in 2009, and it was projected that they would eventually account for between twenty-five and fifty per cent of all books sold. But publishers were concerned that lower prices would decimate their profits. Amazon had been buying many e-books from publishers for about thirteen dollars and selling them for $9.99, taking a loss on each book in order to gain market share and encourage sales of its electronic reading device, the Kindle. By the end of last year, Amazon accounted for an estimated eighty per cent of all electronic-book sales, and $9.99 seemed to be established as the price of an e-book. Publishers were panicked. David Young, the chairman and C.E.O. of Hachette Book Group USA, said, “The big concern—and it’s a massive concern—is the $9.99 pricing point. If it’s allowed to take hold in the consumer’s mind that a book is worth ten bucks, to my mind it’s game over for this business.”

At the Yerba Buena Center, it took a while for Jobs to mention books, and when he did he said that “Amazon has done a great job” with its Kindle. “We’re going to stand on their shoulders and go a little bit farther.” It would probably have been more accurate to say that Jobs planned to stand on Amazon’s neck and press down hard, with publishers applauding. The decision to enter publishing was a reversal for Jobs, who two years ago said that the book business was unsalvageable. “It doesn’t matter how good or bad the product is, the fact is that people don’t read anymore,” he said. “Forty per cent of the people in the U.S. read one book or less last year.” But if reading books was low on the list of things that the iPad could do, it was nonetheless on the list, which meant that Amazon had become a competitor. “There’s a lot of heat between Apple and Amazon and Google,” an adviser to Jobs said. “Steve expresses contempt for everyone—unless he’s controlling them.” An Apple insider said, “He thinks Amazon is stupid, and made a terrible mistake insisting that books should be priced at $9.99.”

Onstage, Jobs made it clear that he would present Amazon and its C.E.O., Jeff Bezos, with a serious challenge. He told the crowd that five of the “big six” publishers had agreed to sell their e-books through Apple’s iBooks store, which would open in April. And he said that Apple, through its iTunes and Apple stores, had access to a hundred and twenty-five million credit cards, which would make it easy for consumers to buy books on impulse. The iPad was clearly a more versatile device: it would provide color and full audio and video, while the Kindle could display only black-and-white text.

After Jobs’s presentation, guests were ushered into an adjoining building to test the iPad. Among them was Carolyn Reidy, the president and C.E.O. of Simon & Schuster. Smiling broadly, Reidy said, “It’s fabulous! I want one!” The new device, she hoped, would “put digital books in front of one hundred and twenty-five million people.” It would also “create a competitor” for Amazon, she said—and provide publishers with leverage as they tried to raise the price of books above ten dollars.

Jobs, circling the room, stopped at one of several tables piled with iPads to talk with Walt Mossberg, the Wall Street Journal’s personal-technology columnist. Onstage, Jobs, demonstrating how Apple would sell books, had selected Edward Kennedy’s “True Compass” and clicked on a “buy” icon with the price $14.99 next to it. Why, Mossberg asked, should consumers “pay Apple $14.99 when they can buy the same book from Amazon for $9.99?”

“That won’t be the case,” Jobs said, seeming implacably confident. “The price will be the same.” Mossberg asked him to explain. Why would Amazon increase prices, when consumers were buying so many books? “Publishers may withhold their books from Amazon,” Jobs said. “They’re unhappy.”

The next day, a Friday, John Sargent, the C.E.O. of Macmillan, a publishing conglomerate that includes Farrar, Straus & Giroux and St. Martin’s Press, flew from New York to Seattle to meet with Amazon. Macmillan is the smallest of the big-six publishers, which produce sixty per cent of all books sold in the U.S. Like its peers, Macmillan relies heavily on Amazon, which sells about fourteen per cent of its trade books and the vast majority of its e-books. But Sargent was determined to force Amazon to change the way it does business.

Traditionally, publishers have sold books to stores, with the wholesale price for hardcovers set at fifty per cent of the cover price. Authors are paid royalties at a rate of about fifteen per cent of the cover price. A simplified version of a publisher’s costs might run as follows. On a new, twenty-six-dollar hardcover, the publisher typically receives thirteen dollars. Authors are paid royalties at a rate of about fifteen per cent of the cover price; this accounts for $3.90. Perhaps $1.80 goes to the costs of paper, printing, and binding, a dollar to marketing, and $1.70 to distribution. The remaining $4.60 must pay for rent, editors, a sales force, and any write-offs of unearned author advances. Bookstores return about thirty-five per cent of the hardcovers they buy, and publishers write off the cost of producing those books. Profit margins are slim .*

Though this situation is less than ideal, it has persisted, more or less unchanged, for decades. E-books called the whole system into question. If there was no physical book, what would determine the price? Most publishers agreed, with some uncertainty, to give authors a royalty of twenty-five per cent, and began a long series of negotiations with Amazon over pricing. For months before Sargent’s visit, the publishers had talked about imposing an “agency model” for e-books. Under such a model, the publisher would be considered the seller, and an online vender like Amazon would act as an “agent,” in exchange for a thirty-per-cent fee. Yet none of the publishers seemed to think that they could act alone, and if they presented a unified demand to Amazon they risked being charged with price-fixing and collusion.

In Seattle, Sargent met with Russ Grandinetti, the vice-president in charge of Kindle Content, and told him that if Amazon would not accept the agency model Macmillan would restrict the publication of its e-books. Sargent was giving an ultimatum: Amazon had built its business on comprehensiveness, and if Macmillan withdrew its books it could no longer claim to be the world’s best-stocked bookstore.

Amazon did not react as Sargent had hoped. Before he stepped off the plane, back in New York, that Friday evening, it had stopped selling all of Macmillan’s titles. But, as Jobs hinted, four other major publishers—Simon & Schuster, HarperCollins, Penguin, and Hachette—were quietly planning to follow Sargent’s lead. On Sunday afternoon, Amazon reversed course and announced on its Web site, “We will have to capitulate and accept Macmillan’s terms because Macmillan has a monopoly over their own titles, and we will want to offer them to you even at prices we believe are needlessly high for e-books.”

This was a somewhat cryptic statement—doesn’t every company have a monopoly over its own products?—and publishers interpreted it in various ways. One executive said that Amazon capitulated in order to show that “pricing is out of its control”—that is, to blame publishers for higher prices. The head of another house said, “Amazon was incandescent with rage. They switched because they figured out that if all publishers withdrew their books Amazon’s business was dead.” Whatever the explanation, Amazon’s announcement was good news for publishers. John Sargent had called negotiations with Amazon a “chess game,” and he seemed to have won the opening gambit.

Even though Sargent’s tactics had worked, publishers seemed uncertain that they were sustainable. “I’m not sure the ‘agency model’ is best,” the head of one major publishing house told me. Publishers would collect less money this way, about nine dollars a book, rather than thirteen; the unattractive tradeoff was to cede some profit in order to set a minimum price. “Amazon forced us,” one publisher said. “They chose to do something irrational—lose money—in order to gain a monopoly. That was destructive to publishers and retailers and authors. They brought this on themselves.”

Publishing exists in a continual state of forecasting its own demise; at one major house, there is a running joke that the second book published on the Gutenberg press was about the death of the publishing business. And publishers’ concerns about Amazon are reminiscent of their worries about Barnes & Noble, which in the eighties began producing its own books, causing publishers a great deal of anxiety without much affecting their business. Unlike Barnes & Noble, though, Amazon generates more than half of its revenues—which total about twenty-five billion dollars a year—from products other than books. Many publishers believe that Amazon looks upon books as just another commodity to sell as cheaply as possible, and that it sees publishers as dispensable. “Don’t forget,” the chief of a publishing house said, “Bezos has declared that the physical book and bookstores are dead.”

Amazon.com opened for business in Seattle in July, 1995. Although sales were brisk, it took seven years to generate a profit, and analysts made a sport of predicting its collapse. Bezos was unmoved by criticism. When Charlie Rose, in 2009, asked him to describe his outstanding talent, he said it was his focus on the long term and a “willingness to be misunderstood.” Like other successful Internet companies, Amazon emphasized winning the trust of consumers. “Our vision,” Bezos has said many times, is to be “the world’s most customer-centric company.” Part of the appeal to consumers was low prices; Amazon sold many books, particularly best-sellers, for little more than the wholesale price, or even at a loss. In the long term, Bezos believed, lower prices would expand Amazon’s market share, its stock price, and its profits.

Amazon had a profound effect on publishers’ business, creating a place where customers could reliably find books that were no longer being promoted in stores. Backlist books—those which sell reliably over time—are vital to publishing houses. At Random House, more than fifty per cent of revenue is generated from books like “The Prophet” and “Mastering the Art of French Cooking,” which provide steady profits that allow editors to make more adventurous gambles on new books. With Amazon, “people could find backlists,” David Young, of Hachette, said. “You were no longer hoping and praying that you would find that spine on a shelf.” Carolyn Reidy said that in a three-month period online venders typically sell copies of twenty-five hundred Simon & Schuster titles that bookstores don’t stock.

Bezos had devised a more efficient way to buy books. And, with the arrival of electronic books, he began to think of ways to replace paper entirely. E-books had undeniable advantages for publishers. There would be no more returns, warehouse fees, printing expenses, or shipping costs. The obstacle was that no one knew how e-books should be read. Computer screens weren’t portable enough, and for many readers cell phones were too small. E-books remained a niche market, mostly neglected by large trade publishers.

Late in 2007, Amazon released the Kindle, which presented a decent simulacrum of printed pages and could wirelessly download a book in sixty seconds. Arthur Klebanoff, the co-founder and C.E.O. of the e-books publisher RosettaBooks, said that, once the Kindle became available, “it took Amazon ninety days from launch to generate more revenue from my hundred-book backlist than I was getting from all my other distribution platforms combined.” There are now an estimated three million Kindles in use, and Amazon lists more than four hundred and fifty thousand e-books. If the same book is available in paper and paperless form, Amazon says, forty per cent of its customers order the electronic version. Russ Grandinetti, the Amazon vice-president, says the Kindle has boosted book sales over all. “On average,” he says, Kindle users “buy 3.1 times as many books as they did twelve months ago.”

But publishers also recognize the similarity between Amazon’s strategy and that of iTunes. One publisher said, “Get market share, and when you get far ahead it is hard to catch up. Bezos’s game, like Jobs’s before him, is to get the device and get eighty-to-ninety-per-cent distribution on the device, and you own the game.”

The analogy of the music business goes only so far. What iTunes did was to replace the CD as the basic unit of commerce; rather than being forced to buy an entire album to get the song you really wanted, you could buy just the single track. But no one,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students, will want to buy a single chapter of most books. Publishers’ real concern is that the low price of digital books will destroy bookstores, which are their primary customers. Burdened with rent and electricity and other costs, bricks-and-mortar stores are unlikely to offer prices that can compete with those of online venders. Roxanne Coady, who owns R. J. Julia Booksellers, an independent bookstore in Madison, Connecticut, said, “Bookselling is an eight-inch pie that keeps getting more forks coming into it. For us, the first fork was the chains. The second fork was people reading less. The third fork was Amazon. Now it’s digital downloads.”

According to the American Booksellers Association, the number of independent booksellers has declined from 3,250 to 1,400 since 1999; independents now represent just ten per cent of store sales. Chains like Barnes & Noble and Borders account for about thirty per cent of the market, and superstores like Target and Wal-Mart, along with clubs like Costco, account for forty-five per cent, though they typically carry far fewer titles. As a result, publishers, like the Hollywood studios, are under enormous pressure to create more hits—more books like “Twilight”—and fewer quiet domestic novels or worthy books about poverty or trade policy.

Bookstores, particularly independent bookstores, help resist this trend by championing authors the employees believe in. “In a bookstore, there’s a serendipitous element involved in browsing,” Jonathan Burnham, the senior vice-president and publisher of HarperCollins, says. “Independent bookstores are like a community center. We walk in and know the people who work there and like to hear their reading recommendations.”

But the cost of maintaining knowledgeable staff and browsable store space contributes to higher prices, which many consumers are unwilling to pay. A best-selling hardcover that is seventeen dollars at Amazon.com commonly sells for as much as twenty-eight dollars at a bookstore. The Apple adviser said, “The Internet makes everything available and cheaper. I compare bookstores to video stores ten years ago. Now I use Netflix or I download movies.” Book buyers understandably want both the convenience of the Web site and the intimacy of the store. But this obliges publishers to essentially run two businesses at once: a traditional publisher that sells bound books to stores and an electronic business that sells e-books online. “I think consumers, like publishers, are living in parallel universes,” Burnham says. “Consumers are educated to have a multiplicity of choices. They still like to go to a bookstore, while they also want everything available online.”

Tim O’Reilly, the founder and C.E.O. of O’Reilly Media, which publishes about two hundred e-books per year, thinks that the old publishers’ model is fundamentally flawed. “They think their customer is the bookstore,” he says. “Publishers never built the infrastructure to respond to customers.” Without bookstores, it would take years for publishers to learn how to sell books directly to consumers. They do no market research, have little data on their customers, and have no experience in direct retailing.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Harlequin Romance and Penguin paperbacks, readers have no particular association with any given publisher; in books, the author is the brand name. To attract consumers, publishers would have to build a single, collaborative Web site to sell e-books, an idea that Jason Epstein, the former editorial director of Random House, pushed for years without success. But, even setting aside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how to run a retail business, such a site would face problems of protocol worthy of the U.N. Security Council—if Amazon didn’t accuse publishers of price-fixing first.

The iBooks store seemed to provide a solution, which helps explain why five of the big-six publishers signed up without much apparent hesitation. The only holdout was Random House, the largest of the big six. Markus Dohle, the chairman and C.E.O., said that he shared the concern about the price of e-books but believed that publishers are being hasty in making agency-model deals with Apple or Amazon. “The digital transition will take five to seven years,” he said. “For me it’s not a question of a week, or a hundred days.”

Dohle, who is forty-one years old, rose as an executive on the printing side of Bertelsmann A.G., the parent company of Random House, and moved to the U.S. in 2008. He believes that as an outsider he sees the challenges to the industry more clearly. “If you want to make the right decision for the future, fear is not a very good consultant,” he said. Before accepting “a significant change in the business model,” he wants to take time “to talk to all our stakeholders,” including authors, agents, and booksellers. “For us in the publishing industry,” he said, “Amazon has been the fastest-growing customer. I think it’s a great company.” He welcomes Apple’s entrance into e-publishing, but says, “If you do a deal with Apple on the agency model, then it means that you have to do agency deals with all other e-booksellers.”

Michael Shatzkin, the C.E.O. of Idea Logical, a media-consulting firm, believes that Random House is holding out for a better deal. So do many of Dohle’s peers. But Shatzkin, who writes a publishing blog, also noted on the blog that by maintaining the status quo—selling e-books to Amazon at hardcover prices and letting Amazon take a loss—Random House will be making the most of its short-term sales and profits. “Random House will collect more money for each e-book sold than their competitors do while the public will pay less for each Random House e-book,” he wrote.

Dohle has also resisted “windowing,” the practice of delaying the release of e-books, which has become common among other publishers. Windowing isn’t a new idea; publishers have long withheld paperbacks to encourage hardcover sales, and in the movie business DVDs often appear a year after theatrical releases. But with e-books windowing can act against the best interests of publishers and authors. On January 11th, HarperCollins released the hardcover edition of “Game Change,” by John Heilemann and Mark Halperin; the e-book didn’t go on sale until February 23rd. The hardcover’s first print run, seventy thousand copies, sold out soon after it was released, and for nearly three weeks bookstores around the country had no copies in stock. The authors and the publisher were deprived of income, as potential readers found other books to buy.

Amazon’s Russ Grandinetti thinks that windowing is a mistake. “It won’t work,” he says. “Over time, people will read what they want. When a book comes out, authors need all the publicity they can get. To put up an arbitrary barrier and keep it out of the hands of someone who might evangelize that work is a bad business decision for the author. Not to mention frustrating for the customer.”

According to Grandinetti, publishers are asking the wrong questions. “The real competition here is not, in our view, between the hardcover book and the e-book,” he says. “TV, movies, Web browsing, video games are all competing for people’s valuable time. And if the book doesn’t compete we think that over time the industry will suffer. Look at the price points of digital goods in other media. I read a newspaper this morning online, and it didn’t cost me anything. Look at the price of rental movies. Look at the price of music. In a lot of respects, teaching a customer to pay ten dollars for a digital book is a great accomplishment.”

In Grandinetti’s view, book publishers—like executives in other media—are making the same mistake the railroad companies made more than a century ago: thinking they were in the train business rather tha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To thrive, he believes, publishers have to reimagine the book as multimedia entertainment. David Rosenthal, the publisher of Simon & Schuster, says that his company is racing “to embed audio and video and other value-added features in e-books. It could be an author discussing his book, or a clip from a movie that touches on the book’s topic.” The other major publishers are working on similar projects, experimenting with music, video from news clips, and animation. Publishers hope that consumers will be willing to pay more for the added features. The iPad, Rosenthal says, “has opened up the possibility that we are no longer dealing with a static book. You have tremendous possibilities.”

It remains an open question whether consumers accustomed to paying $9.99 for an e-book will be willing to pay $13.99, or more, regardless of extras. Tim O’Reilly, the e-books publisher, has found that the lower the price the more books he sells. O’Reilly’s company sells e-books as apps for the iPhone for $4.95, and he says that they generate “a lot more volume” and profit than his company loses in hardcover sales.

Jason Epstein believes that publishers have been handed a golden opportunity. The agency model, he says, is really another form of the consortium he proposed a decade ago: “Publishers will be selling digital books directly to the iPad. They are using the iPad as a kind of universal warehouse.” By doing so, they create opportunities to cut payroll and overhead costs. Epstein said that e-books could also restore editorial autonomy. “When I went to work for Random House, ten editors ran it,” he said. “We had a sales manager and sales reps. We had a bookkeeper and a publicist and a president. It was hugely successful. We didn’t need eighteen layers of executives. Digitization makes that possible again, and inevitable.”

Amazon seems to believe that in the digital world it might not need publishers at all. In December, the Simon & Schuster author Stephen Covey sold Amazon the exclusive digital rights to two of his best-sellers, “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and “Principle-Centered Leadership.” The books were sold on Amazon by RosettaBooks, and Covey got more than half the net proceeds. One publisher said, “What it did for us was confirm that Amazon sees itself as much as a competitor as a retailer. They have aspirations to be a publisher.”

A close associate of Bezos puts it more starkly: “What Amazon really wanted to do was make the price of e-books so low that people would no longer buy hardcover books. Then the next shoe to drop would be to cut publishers out and go right to authors.” Last year, according to several literary agents, a senior Amazon executive asked for suggestions about whom Amazon might hire as an acquisitions editor. Its Encore program has begun to publish books by self-published authors whose work attracts good reviews on Amazon.com. And in January it offered authors who sold electronic rights directly to Amazon a royalty of seventy per cent, provided they agreed to prices of between $2.99 and $9.99. The offer, one irate publisher said, was meant “to pit authors against publishers.”

Grandinetti concedes that Amazon has tried to make more direct deals with authors: “We’re constantly looking for ways we can do something more efficiently.” He suggested that this was nothing new. “There’s a long history of booksellers in the publishing business,” he said, mentioning Barnes & Noble. Major publishers, he points out, all sell books directly to consumers on their Web sites. “It seems like they’re in our business, so it’s a strange argument to worry about this in the other direction,” he said. But publishers’ sales through their own Web sites are negligible, and though Barnes & Noble’s publishing program antagonized publishers, it did not threaten a wholesale devaluation of their products. O’Reilly believes that publishers have good reason to be anxious. “Amazon is a particularly farsighted, powerful, and ruthless competitor,” he says. “I don’t think we’ve seen a business this competitive in the tech space since Microsoft.”

For the time being, Apple’s entrance into the book market has given publishers a reprieve. A close associate of Bezos said, “Amazon was thinking of direct publishing—until the Apple thing happened. For now, it was enough of a threat that Amazon was forced to negotiate with publishers.”

Asked to describe her foremost concern, Carolyn Reidy, of Simon & Schuster, said, “In the digital world, it is possible for authors to publish without publishers. It is therefore incumbent on us to prove our worth to authors every day.” But publishers have been slow to take up new technologies that might help authors. Andrew Savikas, O’Reilly Media’s vice-president for digital initiatives, is shocked that publishers have done so little to create digital applications for their books. “Nothing is stopping publishers from putting apps for books on iPhones,” he said. “There are fifty million iPhones in the world. That’s a great customer base.” Budget-conscious publishers have also reduced the editing and marketing and other services they provide to authors, which has left a vacuum for others to fill. Author Solutions, a self-publishing company in Bloomington, Indiana, has ninety thousand client-authors. For books that attract commercial interest, the company has partnered with publishers like Harlequin to release them through traditional channels, but with more generous royalties.

Jane Friedman, who served as president and C.E.O. of HarperCollins, left in 2008 and established Open Road Integrated Media, an e-book venture. She plans to acquire electronic rights to backlists, sign up new authors (with fifty-per-cent profit-sharing), and form a self-publishing division. “The publishers are afraid of a retailer that can replace them,” Friedman said. “An author needs a publisher for nurturing, editing, distributing, and marketing. If the publishers are cutting back on marketing, which is the biggest complaint authors have, and Amazon stays at eighty per cent of the e-book market, why do you need the publisher?”

Publishers maintain that digital companies don’t understand the creative process of books. A major publisher said of Amazon, “They don’t know how authors think. It’s not in their DNA.” Neither Amazon, Apple, nor Google has experience in recruiting, nurturing, editing, and marketing writers. The acknowledgments pages of books are an efficiency expert’s nightmare; authors routinely thank editors and publishers for granting an extra year to complete a manuscript, for taking late-night phone calls, for the loan of a summer house. These kinds of gestures are unlikely to be welcomed in cultures built around engineering efficiencies.

Good publishers find and cultivate writers, some of whom do not initially have much commercial promise. They also give advances on royalties, without which most writers of nonfiction could not afford to research new books. The industry produces more than a hundred thousand books a year, seventy per cent of which will not earn back the money that their authors have been advanced; aside from returns, royalty advances are by far publishers’ biggest expense. Although critics argue that traditional book publishing takes too much money from authors, in reality the profits earned by the relatively small percentage of authors whose books make money essentially go to subsidizing less commercially successful writers. The system is inefficient, but it supports a class of professional writers, which might not otherwise exist.

Madeline McIntosh, who is Random House’s president for sales, operations, and digital, has worked for both Amazon and book publishers, and finds the two strikingly different. “I think we, as an industry, do a lot of talking,” she said of publishers. “We expect to have open dialogue. It’s a culture of lunches. Amazon doesn’t play in that culture.” It has “an incredible discipline of answering questions by looking at the math, looking at the numbers, looking at the data. . . . That’s a pretty big culture clash with the word-and-persuasion-driven lunch culture, the author-oriented culture.”

Most publishers mistrust Amazon and think it is unnecessarily secretive. It won’t tell them details about customer habits, or the number of Kindles sold, or what it costs to make a Kindle. It won’t even disclose the percentage of revenues its book sales represent, saying only that “media”—movies, music, and books—accounted for fifty-two per cent of sales in 2009.

Publishers say that the negotiations with Apple were less contentious. There were arguments over the price of e-books, with publishers wanting the top price set at seventeen dollars and Apple insisting on fifteen. “Once Apple had determined that they were going to accept the agency model,” a publisher said, “they were very tough: Take it or leave it.” But the Apple people “had a much more agreeable feel than Amazon did. They said they would share some consumer data about buying e-books. We have no such data from Amazon.”

Publishers have another recently converted ally: Google, which not long ago they saw as a mortal threat. In October, 2004, without the permission of publishers and authors, Google announced that, through its Google Books program, it would scan every book ever published, and make portions of the scans available through its search engine. The publishing community was outraged, claiming that Google was stealing authors’ work. A consortium of publishers, along with the Authors Guild, filed a lawsuit, which was resolved only in the fall of 2008, when Google agreed to pay a hundred and twenty-five million dollars to authors and publishers for the use of their copyrighted material. John Sargent, who was part of the publishers’ negotiating team, said the agreement is a huge accomplishment. “The largest player in the Internet game agreed that in order to have content you have to have a license for it and pay for it, and that the rights holder shall control the content,” he said. Whether or not the settlement is ultimately approved by the U.S. courts, Google will open an online e-books store, called Google Editions, by the middle of the year, Dan Clancy, the engineer who directs Google Books, and who will also be in charge of Google Editions, said.

Clancy said that the store’s e-books, unlike those from Amazon or Apple, will be accessible to users on any device. Google Editions will let publishers set the price of their books, he said, and will accept the agency model. Having already digitized twelve million books, including out-of-print titles, Google will have a far greater selection than Amazon or Apple. It will also make e-books available for bookstores to sell, giving “the vast majority” of revenues to the store, Clancy said. He suggested that in trying to dominate the market Amazon and Apple were taking the wrong approach to business online. “It’s much more of an open ecosystem, where you find a way for bricks-and-mortar stores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digital world of books,” he said. “We’re quite comfortable having a diverse range of physical retailers, whereas most of the other players would like to have a less competitive space, because they’d like to dominate.”

For now, many publishers believe that they have won the chess match that Sargent started. “We have three behemoths now competing,” the C.E.O. of one house said. “So one of them can’t force us to do anything unless the others go along.” Early sales of the iPad are promising: Apple said that more than three hundred thousand sold the first day, and analysts have guessed that between five and seven million will be sold this year. And a dozen other digital reading devices were on display at the Consumer Electronics Show, in Las Vegas, in January, providing more competition for the Kindle.

Publishers have another reason to hope. The recession has changed the thinking of Silicon Valley companies, shaking their faith in advertising as their only source of revenue. YouTube has begun charging for some independent movies, in an effort to compete with Netflix, and its managers know that to succeed it must have professionally produced content that advertisers—and consumers—will pay for. As digital companies begin charging for content, they are met in the middle by old-media companies looking for ways to charge for what they produce. The incentives for old and new media to form partnerships seem to converge.

“Ultimately, Apple is in the device—not the content—business,” the Apple insider said. “Steve Jobs wants to make sure content people are his partner. Steve is in the I win/you win school. Jeff Bezos is in the I win/you lose school.” Jobs recently met separately with New York Times, Wall Street Journal, and Time Inc. executives to demonstrate the iPad’s potential to make money for newspapers and magazines. Jobs, who had a liver transplant last year and has battled pancreatic cancer, has begun to think about his legacy, the insider said. “He’s in a hurry to create in the next two years what he may have been thinking about in the next ten years. What keeps him going is his vision. Nothing is going to stop him, except death.” The insider said that Jobs was pleased with his advocacy of publishers: “He feels like he’s their champion.”

For the moment, Jobs is the publishers’ best ally. “Steve is very proud that Macmillan put a gun to Amazon’s head,” the insider said. But in the long term Apple and Google will not necessarily be better partners than Amazon. One day, they, too, will complain about the cumbersome publishing process, or excessive prices. Just days before the iPad went on sale, on April 3rd, there were rumors that Apple might list best-sellers for as little as $9.99. Apple agreed to the agency model for just one year, and, as publishers are acutely aware, Jobs has a history, with music and television companies, of fighting to reduce prices. One publisher said, “Maybe Apple will want to come back in a year and bite our heads off.” The iPad may even make it possible for Amazon to reach new consumers. Apple now offers about sixty thousand e-books, far fewer than Kindle does, and Amazon has launched an app that allows it to sell e-books on the iPad. No matter where consumers buy books, their belief that electronic media should cost less—that something you can’t hold simply isn’t worth as much money—will exert a powerful force. Asked about publishers’ efforts to raise prices, a skeptical literary agent said, “You can try to put on wings and defy gravity, but eventually you will be pulled down.” 

 

*The original piece described publishers’ costs incorrectly.

Posted by wizysl
, |
[정종섭의 논형/5월 3일] 돈에 중독된 대학

정종섭 서울대 교수 · 새사회전략정책硏 원장
1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대학이 돈에 중독되어 있다. 언제부턴가 대중 연예인들이 이상한 종류의 교수 이름을 달고 강의를 한답시고 캠퍼스를 누비면서, 대학이 무슨 공연장이나 놀이터쯤으로 치부된다. 총장이라는 사람들도 덩달아 대학 선전을 한답시고 개그맨이 되지 않나 춤을 주지 않나 실로 가관이다.

게다가 CEO총장 바람을 일으켜 저마다 학문적 권위는 내팽개치고 돈을 모은다고 날뛴다. 아예 장사하던 사람이 총장직을 떡 하니 차지한 경우도 있다. 총장 선거마다 돈을 얼마 모으느냐가 주된 공약이 되었다. 여기에 은연중 교수들도 무감각해졌다.

총장·교수 평가에 문제

인간세계와 자연과 우주 속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내고, 풀리지 않은 문제들을 붙잡고 씨름하며 끝없이 사색하고 연구하는 것은 어렵고 고통스러운 길이다. 이 길은 교수뿐 아니라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도 가야 한다. 그런데 대학과 교수들이 돈에 중독되어 성찰은 뒷전이고 기술적 지식만 가공하는데 몰두한 다면, 도대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울 것이며 어려운 공부의 길을 왜 가려고 하겠는가.

대학이 돈에 중독됐기 때문에 교과부 등 정부도 돈으로 대학을 길들이는데 익숙하다.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고 국민 세금을 대거 쏟아 부은 BK사업에서도 돈다발을 흔들며 '돈을 받으려면 정부가 시키는 대로 학과를 통폐합하라'고 재촉한다. 대학들은 재정 형편상 우선 돈부터 받고 보자고 아무 연관도 없는 학과들을 억지로 통폐합하고, 교수들도 소속을 억지로 옮기는 희한한 일을 저질렀다. 지금 대학은 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는 최근 국공립 대학에 성과급제를 시행하겠다고 나섰다. 대학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교수들이 연구와 교육에 충실하게 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인다는 목적은 나무랄 것이 없다. 문제는 성과급을 지급하기 위한 업적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그 동안 대학과 교수 평가를 해보았듯이, 아직도 평가 기준과 방법에 문제점이 너무 많다. 그래서 많은 교수들이 비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잘못을 고치기보다 건설 공사하듯 마구 밀어 붙여왔다. 성과급제의 목적은 그럴 듯해도 방법을 개선하지 않으면 정부가 돈으로 대학과 교수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전락, 연구 역량을 오히려 망칠 위험이 크다. 논문 편수 위주의 평가, SCI등재여부 등등의 평가가 얼마나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였으며 돈만 낭비하였는지 반성부터 할 일이다.

세계적으로 제대로 된 학자치고 논문 편수나 SCI등재를 먼저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10년에 한편이라도 그 분야에서 괄목할 논문을 쓰고, 그 길이가 원고지 1장이라도 인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결정적인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라면 제대로 된 것이다. 논문 1편에 써도 될 것을 3ㆍ4편으로 쪼개 쓰게 만들고, 연구자가 깊이 사색하고 연구할 여유도 없이 빵 만들 듯이 논문을 찍어내게 하는 것은 한국의 연구 역량을 오히려 황폐화한다. 성과급제 시행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먼저 대학이 무엇이고 학문과 연구가 무엇인지부터 정립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지성의 전당' 모습 되찾기를

전국 대학마다 외벽에 재벌기업 이름을 큼지막하게 써 붙인 건물들이 앞다투어 들어서고 있다. 도대체 대학인지 상업지구인지 헷갈린다. 대학을 위해 큰 돈이나 건물을 기부하고, 기부자에 감사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그러나 얼마든지 품위 있게 할 수 있다. 아파트에도 기업 이름을 없애는 시대에 대학 건물을 온통 기업 이름으로 도배질하는 천박한 일이 대학 사회에서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벌어지고 있다.

대학이 돈에 취해 있을 때, 학생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있다. 돈밖에 모르는 대학에 더 이상 다니지 않겠노라고. 정당하고 당당한 반란이다. 이제라도 대학은 제 정신을 차리고 지성의 전당이라는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돈에 함몰된 지성은 더 이상 지성이 아니다.

Posted by wizysl
, |

김광원 (참미디어연구소 대표)

김예슬이 책 속으로 걸어 나왔다. 지난 3월 10일 잔설(殘雪) 속의 고려대 교정에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는 대자보를 붙이고 떠난 그가 한달만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책으로 다시 나타났다.
손바닥 만한 크기의 125쪽 짜리 소책자. 재생지로 된 얇은 책자의 생김생김이 교문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던 저자의 마음을 보는 듯하다. 그는 글을 시작하며 이렇게 한달 전의 심정을 전하고 있다.
“3월에 눈이 내렸다. 밤을 꼬박 새운 아침, 고려대학교 교정으로 들어섰다. 내 심장의 떨림으로 꾹꾹 눌러 쓴 대자보를 담벽에 붙였다. 그리고 찬 바람 부는 높고 큰 정문 앞에서 작은 피켓 하나를 들고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오늘 저는 대학을 그만 둡니다. 아니, 거부합니다! 진리도 우정도 정의도 사라진 죽은 대학이기에’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
그는 시위를 하는 한 시간 동안 오가는 학생들과 교수들의 차가운 시선을 의식하며 온 몸이 떨려오는 슬픔과 무력감을 느꼈다고 했다.

의존의 시대, 상실의 시대
시위를 한 이유도 “내가 약해서였다. 조용히 그만 둘 수도 있겠지만, 너무나 약하고 못난 나였기에 그래야만 했다.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고려대학생의 자격증을 스스로 던져버린 내가 비겁해질까봐, 언젠가 혹시라도 다시 받아달라고 이 문을 들어설까봐…”였다고 쓰고 있다.
대학과 사회에 대한 신랄한 그의 비판은 이렇게 시작되고 있다. 그는 이후 4개장으로 나눈 본문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한다. 때로는 도발적이고 불편하고 거칠지만 자신의 생각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저자는 무력하고 괴로웠던 자신과의 불화시대를 대학에서 겪은 세 가지 경험적 사례에서 들고 있다. 그의 복합적인 심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중의 하나가 2005년 삼성 이건희 회장의 거액기부와 명예철학박사 학위수여에 관련한 고려대 학생들의 반대시위다. 삼성 회장의 기부금을 받는 것도, 학위수여를 반대하는 학생들에 대한 출교조치에도 그냥 지나쳤던 회한을 적고 있다.
그는 또 2006년 주변에서 아무도 관심 없는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에 분노하는가 하면,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후 거론한 “나는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CEO”라는 발언에 실망을 털어놓기도 한다.
그의 이른바 ‘적들’에 대한 공격은 더욱 격렬하다. “대학은 글로벌 자본과 대기업에 가장 효율적으로 ‘부품’을 공급하는 하청업체가 되어 내 이마에 바코드를 새긴다. 국가는 다시 대학의 하청업체가 되어, 규격화된 인간제품을 만들어 올려 보낸다”고 비난한다. 그는 “지금 시대는 돈과 시장에 대한 완벽한 의존의 시대, 삶의 자율에 대한 완벽한 상실의 시대가 된 것”이라며 “내 삶의 결정권이 나에게 없다는 사회현실 앞에서의 두려움, 이것이 국가와 대학과 시장이 만들어 낸 우리 시대 고통과 모순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적들은 “나만의 적은 아닐 것이다”고 덧붙인다.
김예슬은 비판의 시선을 진보적 지식인과 언론에 대해서도 겨누었다. “그동안 그들과 ‘비슷하다’고 생각해온 내가 전혀 다른 꿈을 꾸고 있었던 것처럼 느껴졌다”며 “우리 사회의 진보는 충분히 래디컬(radical)하지 않다”고 강조한다.
그의 적들은 결국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사회 자체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결론은 현재 이 땅의 진행 중인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사탄의 맷돌(satanic mill)’정도로 여기는 듯하다. 사탄의 맷돌은 헝가리 출신 비주류 경제학자 칼 폴라니가 그의 저서 ‘거대한 전환’에서 시장주의의 폐해를 설명하기 위해 차용한 용어다.
사탄의 맷돌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저 옛날 그분들의 발자취가’라는 시에 나오는 표현이라고 한다. 산업혁명으로 보통 사람들의 삶이 망가져버린 19세기 초 영국의 현실을 개탄하는 내용이다. 사탄의 맷돌은 증기기관을 장착해 세운 밀가루 공장과 연관된다.

팔아넘긴 진리·자유·정의
이 공장은 블레이크의 집에서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화재로 불탔다. 이 불은 일자리를 잃은 제분업자들이 일으킨 것으로 추정됐다. 사탄의 맷돌은 바로 이와 같은 산업혁명이 ‘인간을 통째로 갈아서 무차별의 떼거리’로 만든 공포의 상징이다.
김예슬의 글에서 보는 대학의 오늘 모습은 사탄의 맷돌에 다름 아니다.
“‘진리’는 학점에 팔아 넘겼다. ‘자유’는 두려움에 팔아 넘겼다. ‘정의’는 이익에 팔아 넘겼다. 나를 가슴 벅차게 했던 그 세 단어를 나 스스로 팔아 넘기면서, 그것들이 모두 침묵 속에 팔아 넘겨지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
그는 결국 대학을 거부했다. 그가 침묵을 이기고 더 좋은 세상을 위해 도전하는 젊은이로 기억되었으면 한다.

[자료출처]
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539452&sid=E&tid=8
Posted by wizysl
, |
다산칼럼]

수백년 역사도 개혁 대상
구성원 마음 얻어야 성공



독일 유학시절 첫 강의 시간에 좀 황당한 일을 겪었던 기억이 난다. 오전 9시 강의 시간에 맞춰 5분 전쯤 강의실에 도착했다. 그런데 웬일인지 강의실이 텅 비어 있지 않은가. 9시5분이 지나도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코리안타임과 달리 독일인들의 시간관념은 틀림없다고 여겼기에,내가 강의안내서를 잘못 읽었겠거니 하며 발걸음을 돌렸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강의일정에는 착오가 없었다. 단지 당시에는 전혀 예상 못했던 사유가 있었다. 정시보다 15분 늦게 시작하는 독일식 대학시계(akademisches Viertel) 탓이었던 것이다.

강의안내서를 들춰보니 '9시 c.t.'라는 표기가 눈에 들어왔다. 라틴어로 'cum tempore'라고 하면 통상 '정시에서 15분 늦게'라는 뜻이고 's.t.'(sine tempore)라고 해야 정시에 시작한다는 뜻이라는 설명을 듣고서야 비로소 사태를 파악했지만 더욱 더 놀란 점은 그런 관행이 벌써 수백 년 넘게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유래는 이러했다. 중세 때 대학 강의는 대부분 대학도시에 흩어져 살던 교수들의 사가(私家)에서 했기 때문에 학생들이 시계탑 종소리를 듣고 도착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고 으레 15분 늦게 강의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현대에 와선 강의실을 옮기는 시간이나 휴식시간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는 얘기도 들었다. 다소 썰렁한 그 일을 가끔 추억하며 대학이란 얼마나 오래된 시계며 또 케케묵은,만들어진 전통인가,그런 대학에서 개혁이니 혁신이니 한다는 게 그 얼마나 난감한 일인가 생각한다.

중앙대식 구조조정에 대한 대학사회의 우려가 높다. 골리앗에 대항한 다윗 교수들의 고단한 목소리조차 사람들 귀에는 잘 들리지 않는다. 언론에서 간혹 전해주는 소식에 여론마저 그리 우호적이지 못하다.

대학이란 참 오래된 조직이다. 서울대학교의 역사를 구한말까지 올려 잡으려는 시도로 설왕설래하지만 중세 대학의 발상지인 유럽에서는 지금 한 300년 묵은 대학이 한동안 신흥 대학으로 통했을 만큼 역사가 깊다. 대학은 한국에서조차 매우 오래된 시계다. 그 낡은 시계를 숨가쁘게 돌아가는 시장의 맥박에 맞추려니 제 아무리 경영수술의 명의라도 결코 만만치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심! 환자가 죽을지도 모른다. 기업가의 눈으로 보면 대학이란 시계는 군데군데 녹이 슬고 태엽을 감아도 잘 돌지 않는 부속들로 가득찬,낡고 비효율적인 시계다.

그렇다면 대학이란 기구가 그토록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힘,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숱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발전과 문명,지성과 지식의 전당으로 행세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대학이 사회변화에 잘 적응했다는 이야기일까, 아니면 대학 자체가 적응과 생존의 능력으로 무장한 불멸의 전사였기 때문일까. 살아남을 수 있었다면 혹 대학 나름대로 독특한 방식,기업에서는 좀처럼 납득하기 어려운 방식과 수단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불변의 상아탑은 이제 더 이상 먹히지 않지만,현실 사회와 시장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해 온 것,그리고 허점투성이지만 학문과 교육의 자율성 타령을 하며 물리적 · 정신적 캠퍼스를 고수해 온 것,시장이 개개인의 골수까지 침범해 들어와도 어딘가,누군가 정신을 차리고 연구실과 강의실을 지켰던 게 그 비결이 아닐까. 대학이라는 오래된 시계가 그런 대로 돌아갈 수 있었다는 사실을 곰곰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조이는 곳이 있으면 약간 풀린 곳도 필요하다. 더욱이 어딘가 풀린 곳이 있어야 더 꽉 조일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스피드가 아니라,교수와 학생,직원들의 마음을 얻는 일 아닐까. 그들의 마음이 대학의 자산이자 활력이기 때문이다.

홍준형 <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
Posted by wizysl
, |

"김예슬이 떠난 그 학교에, 저는 가고 싶습니다"

[쌍용자동차 파업, 그 후⑨] 스무 살, 쌍용 앞에서 울다

2009년 8월 6일,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은 77일간의 옥쇄 파업을 마치고 공장 문을 나섰다. 직접적으로는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의 여파로 시작된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 더 원인을 파고 들어가면 외환위기 이후 본격화된 해외자본의 국내기업 인수의 예고된 비극, 노동자 입장에서 따지면 한국사회에 깊게 뿌리 내린 신자유주의적 노동유연성에 낳은 칼바람이었던 쌍용차 사태는 한국사회에서 큰 상징성을 갖고 있다. 그로부터 200여 일이 지난 지금 파업 참가 노동자들은, 쌍용 공장은, 그리고 우리 사회는 어디쯤에 서 있는 것일까?

미행(美行)과 쌍용 파업 참여 노동자, 가족들 그리고 금속노조를 비롯한 다양한 노동, 정치, 사회 단체들과 현장 활동가, 르포작가, 교수, 작가, 블로거 등 다양한 사람들이 각각의 관점에서 오늘을 진단해본다. "파업 그 후"부터 "88만원 세대와 쌍용"을 거쳐, "한국 사회와 노동자 파업"에 이르기까지 그들과 우리가 처한 오늘을 기록한다. - 프레시안 편집자



어지간한 아르바이트는 다 해봤습니다. 전단지 돌리기, 프렌치 레스토랑 서빙, 노점에서 꽃 팔기, 지하철에서 귀걸이 판매 등등. 고등학교를 그만 두고 난 다음에 먹고 살기 위해 일을 시작했습니다. 일하지 않으면 먹을 수 없었습니다. 어떤 일은 할만 했고 어떤 일은 정말이지 '내가 이 돈 벌려고 이렇게 일해야 하나' 싶을 정도로 힘들었습니다. 개중 가장 고달팠던 일은 프렌치 레스토랑에서 서빙하는 일이었습니다. 최저임금에도 한참 못 미치는 2280원짜리 시급에 하루 평균 노동시간이 13시간을 찍는 일을 하고 있자니 참 남의 돈 먹는 게 어렵다는 게 실감이 났습니다.

 

공 장아르바이트를 잠깐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통장 잔고 까먹으면서 살다가, 잔고는 언제나 0에 수렴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때였습니다. 공장에 다녀 본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았습니다. 대답은 한결같았습니다. "다른 알바자리 많은데 왜 공장에 가니? 요즘 다 비정규직에 최저임금이야." 어차피 최저임금인 거, 그냥 집 근처 가까운 아르바이트자리면 족했습니다. 제겐 자기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는 일터가 필요했으니까요.

 

하루 일과가 자유시간만으로 꽉 채워질 때쯤, 저는 우연히 기륭과 동희오토에 가게 되었습니다. 기륭에는 '할일도 없는데 릴레이단식에 참여하러 가볼까!' 하고 갔는데, 공교롭게도 그 날이 릴레이단식 마지막 날이었습니다. 딱 하루만 굶었습니다. 다음날, 정말 맛있게 갈치속젓에 밥을 비벼먹었습니다. 기륭분회원들 음식솜씨가 장난 아닙니다. 막 들어갑니다. 충남 서산의 동희오토에는 "전어회 사준다"는 말에 낚여서 갔습니다. 가을전어는 날백수도 투쟁사업장에 가게 만들었습니다. 제철 음식은 언제나 옳습니다.

 

기륭에서도, 또 동희오토에서도 밥은 늘 맛있었습니다. 다만 보고 듣는 것은 맛있지만은 않았습니다. "열악한 노동환경과 사람을 사람으로 대우하지 않는 기업"이란 말이 참 상투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상투적인 말만큼 진실에 가까운 것은 없었습니다. 그런 현실 속에서 "적개심에 불타는 투사들"이란 소리를 들으면서 '웃기고 있네' 하고 넘길 수 있는 담대한 기륭 분회원들이나, 자동차 트렁크로 공장에 잠입한 동희오토 조합원들을 보고 있자니, 노조는 아무나 하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만약 그런 상황에 처해 있었더라면 그냥 울고 말았겠지요. 화는 나더라도, 그렇게 버틸 수는 없었을 겁니다. 저는 그걸 보면서 마음이 강건해야 사람이 참 건전하게 살 수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물론 시간은 화살처럼 지나갔고 저는 슬슬 대학수학능력시험이란 것을 준비해야 했습니다. 2009년 3월부터 고등학교 3학년이 된 것 같은 기분으로 잠시 학원에 등록하여 난생 처음 입시공부라는 걸 해봤습니다. 아시다시피 입시학원 종합반에 다니다 보면 세상과 단절됩니다. 도대체 바깥세상에서 뭘 하는지 모릅니다. 작년의 핫이슈였던 노무현 서거도 학원에서 정치수업 듣다가 '학감'이 들어와서 툭 한 마디 던지고 나가서 알았습니다.

 

그 런 중에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에서 파업을 시작했단 말을 들었습니다. 그냥 그런가 보다 했습니다. 그래도 쌍용차노조는 정규직 노조니 다른 비정규직 사업장보다야 상황이 나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점점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는 말이 들려왔습니다. 역시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말았습니다. 수능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는 충격과 공포에 덜덜 떨고 있었습니다. 언제나 공부 안 하는 애들이 스트레스는 더 받지 않습니까.

수능이 가까워지는 것과 동시에 수도와 전기가 끊겼다는 말이, 그런데도 공장에 생수통 하나 반입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들려왔습니다. 어릴 적 서바이벌 백과사전에서 봤던, <사람이 물이 없을 때 버틸 수 있는 시간>이 떠올랐습니다. 저는 뜨악했습니다. 인터넷 뉴스의 사진 속에는 공장을 빙 둘러싸고 있는, 검은 옷을 입은 청년들과 생수통을 앞에 놓고 울부짖는, 노조원들의 가족들이 있었습니다. 그 수많은 이름 모를 실명들에 대해 저는 망연함만 느꼈습니다. 공장에 인화물질이 가득한데, 강경진압을 하다 불이 붙으면 근방 수십 킬로미터가 죄다 불바다가 될지도 모른다는 얘기를 듣고 나니 할 말이 없었습니다. 수학 문제를 푸는 짬짬이 그저 그들이 몸 성한 채로 살아서 공장을 나오기를 바랄 뿐이었습니다.

 

모의고사를 두 번 치르고 나니 어느새 파업이 끝나 있었습니다. 며칠 된 인터넷 뉴스를 살펴보며 한숨을 쉬다가, 분노하다가, 무기력해지다가, 마침내 안도했습니다. 그래도 다행이었습니다. 목숨 붙이고 나온 것이 그렇게 고마울 수 없었습니다. 전쟁터에서 살아 돌아온 것만으로도 감사했습니다. 저는 그때 먹는 '입'이 떠올랐습니다. 공장 안에서 밥을 먹는 노조원들, 또 남편을, 아버지를 기다리며 가슴 졸이는 가족들의 식사시간. 이런 것들과 제가 먹는 한 그릇의 밥, 가족이, 친구들이 먹는 밥이 연상되었습니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 때문에 영영 먹지도 살지도 못한다면, 이 무슨 슬프기 짝이 없는 일입니까.

 

물 론 시간이 지나자 쌍용은 점점 제 머릿속에서 잊혀갔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이슈가 생기다 사라지는 세상에서 여러 가지 이슈에 일일이 반응하며 희로애락을 하나하나 보이다가, 사상 최악의 물수능과 비전략적인 원서접수까지 겹쳐 저는 재수를 할 형편에 놓였습니다. 이제 와서 '공부 좀 할걸' 하고 후회해봤자 별 거 없다는 건 알고 있었습니다. 저는 당연히 언제나 하던, 그리고 지금 바로 코앞에까지 들이친 고민을 붙잡게 되었습니다. 도대체 나는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하는가? 재수를 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집에서는 돈을 대주지 '못할' 것이고, 나는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냥 시집이라도 가버릴까? 근데 나랑 결혼할 사람이 있기는 있을까? 아니 그냥 나는 왜 사는 걸까?

 

뭐 이런 실존적이면서 비루한 사유를 하던 도중 <당신과 나의 전쟁>이라는 쌍용자동차 옥쇄파업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거기서 다시 '입'들을 보았습니다. 식재료가 변변치 않아 그저 고추장 바른 주먹밥을 앙 먹는 입, 치킨과 맥주가 먹고 싶다는 입, 아내를 꼭 안아주고 싶다고 말하는 입, 입, 입들. 그렇게 말하는 입들에게 물 한 모금 허용치 않고, 물 대신 최루액이 비처럼 내리게 했던 일들.

 

영화가 끝나고 나서, 쌍용차 노조에 대해 한 조합원이 말했습니다. "노조가 아니라 친목모임"이었다고요. 노동조합이 친목모임이 될 정도로 별 일 없이 살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영화 속의 한 장면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공장 바깥에다 기중기와 컨테이너박스를 갖다 놓고, 컨테이너 박스 안에 특공대를 집어넣고 기중기로 공장 옥상에 운반하는 그 장면이 잊히지가 않습니다. 좁디좁은 한국사회에서 몇 다리만 건너면 서로 아는 사이일지도 모르겠다 싶은, "친목모임" 회원들과 특공대 젊은이들이 자꾸만 떠오릅니다. 치킨, 맥주, 소맥, 곱창과 같은, 먹고 싶은 것들을 하나씩 적으면서 "나가면 꼭 먹을 거예요" 하고 히히 웃는 입들에 '오버랩'되면서.

 

저는 여태까지 아무리 '공장'이라도 정규직이면 그나마 먹고 살만 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휴일도 없이 일해 가면서 "너는 제사도 안 지내느냐"는 소리 들을 정도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순식간에 해고통보를 받을 줄은 몰랐습니다. 세상은 조금씩 바뀌었다지요? 저 91년생입니다. 소련 무너지던 해에 태어났습니다. 저는 '바뀌기 전의 세상'이라는 걸 알지 못합니다. 그건 제가 태어나기 전에 있었던 일들입니다. 그리고 세상은 아직도 불합리하고 부조리합니다. "으아악! 이게 뭐야!"하고 소리라도 지르고 싶은 심정입니다.

 

저 이제 꼬박 스무 살입니다. 공부도 못하고 모아둔 돈도 없고 학력은 고교중퇴에 검정고시 졸업뿐입니다. 도대체 뭘 하고 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누가 고려대 다니다 자퇴 선언 했다는데, 제 입장에선 "그나마 고대생이니까 이슈라도 됐구나…."하는 생각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녀가 떠나기로 마음먹었던, 그놈의 대학에 그렇게 가고 싶습니다. 대학에 안 가면 당장 돈을 벌어야할 텐데, 제가 지금 갈 수 있는 '직장'은 공장 밖에 없을 테지요. 비정규직으로 채용될 가능성이 높겠지만 운이 좋아 정규직으로 채용되더라도, 글쎄요. 제가 안정적으로 계속 일할 가능성이 높을까요, 일방적인 해고통보를 받을 가능성이 높을까요? 세계적인 경제위기라고 떠들어대는 이 세상에서? 저는 후자가 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제 통장잔고는 0을 향해 미친 듯이 달려가고 있습니다. 당장 휴대전화 요금을 내야 하는데 그 돈이 없습니다. 하지만 공장에 가지는 않을 겁니다. 계속, 먹고 살고 싶으니까요. 겨울밤 동치미 국물에 국수 말아서 후루룩 먹는 맛을 아는 사람들, 그러니까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그렇듯이 말입니다. 그냥 안온하고 평범하게 살고 싶지만 그렇게 사는 게 제일 힘들어 보입니다.

 

/문계린 백수

[자료출처]
프레시안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100326125000&Section=02
Posted by wizysl
, |
이건 좀 이상한 입장의 글이 되지만 87년부터 매킨토시 전도사를 자처해왔고, 아이팟 터치를 써오던 내가 최근의 아이폰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도가 지나친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고 있다.

만약 애플이 우리나라의 아이폰 열풍을 계획하고 예측했다면 그들의 마케팅 실력은 확실히 국제적 기업의 그것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아이폰은 폐쇄적이던 국내 모바일 환경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준 하나의 사건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매킨토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새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개인용 컴퓨터에 불과한 것과 마찬가지 의미로.

이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용하고 나면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 그리고 국내 기업들 간에 경쟁이 시작될 것이다. 우리는 거기서 가장 합리적이고 내 취향에 맞는 핸드폰을 선택하면 된다.

새로운 자동차 모델이나 가방 디자인이 나오면 팬들이 열광하는 것을 이해한다. 하지만 전 국민이 이렇게 열광하는 것은 2002 월드컵 이후 오랫만이다. 자주 열광하는 것도 좋은 것만은 아니니까.
Posted by wizysl
, |
[정동칼럼]이제 대학과 자본이 답하라

장덕진|서울대 교수·사회학

많이 망설여야 했다. 이 글을 쓸 것인가, 말 것인가.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스스로 빠지기를 결정한, 그리하여 이 조용하지만 거대한 폭력의 구조에 “작은 균열”을 내는 “돌멩이”가 되기를 결정한 고려대생의 이야기 말이다. 그의 이야기는 언론과 인터넷을 통해 많은 울림을 불러일으키고 있지만, 언론 또한 어차피 그 구조의 한 부분이다. 내가 쓰는 이 글을 비롯하여 그에 대한 기사들 중 많은 것들은 그의 본래 의도와 별 상관없이 흘러갈 것이고, 그는 이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며, 그것은 이 젊은이의 또 다른 선택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 그러니 쓸 것인가, 말 것인가.

써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 작지만 처절한 문제 제기에 대해 대학과 자본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침묵하면 잊혀질 것이고, 잊혀지면 이 거대한 구조는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다시 잘 작동할 것이라고 믿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대학이라는 오래된 석탑에서 떨어져나간 돌멩이의 빈 자리는 시멘트 땜질로 메워질 것이고, 그것은 조만간 대학을 흉측한 시멘트 덩어리로 바꾸어놓을 것이다. 써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변화하는 대학에 적응하지 못한 한 학생의 이야기가 아니라 청년세대 모두에게 무차별로 행해지고 있는 말 없는 폭력이 이제야 겨우 수면 위로 돌출되기 시작한 첫 번째 사례일 뿐임을 기록해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퇴 고대생의 처절한 문제제기

내가 오늘의 대학을 “조용하지만 거대한 폭력의 구조”라고 부르는 이유를 설명해야겠다. 그것은 폭력적이다. 문이 닫혀 있음을 뻔히 알면서 그 문으로 들어가라고 학생들을 몰아붙이고, 그로 인해 그들의 젊은 날을 송두리째 희생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노동시장 입직구는 닫혀 있고, 이미 따뜻한 문 안쪽에 들어와 있는 “그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오히려 더 많은 노동유연화를 외치고 있을 뿐이다. 그 결과는 계급적으로는 하층 서민들에게, 세대적으로는 청년들에게 돌아간다. 그것은 조용하다. 마치 그것이 구조의 폭력이 아니라 개인의 성실성의 결과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 땅의 젊은이들은 벌집 고시원에서 혼자 조용히 ‘스펙’을 쌓고 혼자 조용히 좌절한다. 그것은 거대하다. 대학과 자본과 언론과 정치와 그리고 우리 모두의 일상이 합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학은 지난 10년 동안 개혁이라는 이름을 달고 쉴 새 없이 바빴다. 대학마다 경영자형 리더십을 외쳤고 실제로 경영자 출신들이 대학을 운영하기도 한다. 우리 대학 졸업생들은 이렇게 훌륭한 스펙을 가지고 있고, 무슨 시험에 얼마나 많이 합격했고, 얼마나 취업률이 높다고 자랑하기 바빴다. 그러나 젊은이들 마음의 길이 어느 방향으로 열리고 있는지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당신들은 도대체 무슨 짓을 했나

젊은이들이 형형색색의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기보다는 고시와 대기업이라는 양자택일의 정답 속에 더 많은 청춘들을 우겨넣는 데 성공했다고 자랑스러워했다. 비인기학문일 수밖에 없는 기초학문 분야의 정원을 매년 떼어 인기학과에 넘겨주겠다고, 그러면 조만간 비인기학과는 자연스레 폐과될 것이라고 말하던 어느 대학 총장을 생각한다. 대학의 본질인 교양교육을 “잡다하다”고 말하며 취업도 못하는 졸업생을 “양심상” 내보낼 수 없다고 말하던 어느 대학 이사장을 생각한다. 이 거대한 폭력구조의 최정상 대학, 그중에서도 최고 인기학과에 다니던, 그래서 바늘구멍 같은 취업 문에 그나마 가장 가까웠던 학생조차 스스로 돌멩이가 되어 이 거대한 폭력의 구조에 작은 균열을 낼 것을 선택했다. 이제 대학과 자본이 답하라. 당신들은 도대체 무슨 짓을 한 것인가.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0.3.17

[참고자료]
경향신문 정동칼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3171808185&code=990308
Posted by wizysl
, |

자발적 퇴교를 앞둔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 김예슬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G세대로 ‘빛나거나’ 88만원 세대로 ‘빚내거나’ 그 양극화의 틈새에서 불안한 줄다리기를 하는 20대. 무언가 잘못된 것 같지만 어쩔 수 없다는 불안에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20대.

우리들의 다른 길은 이것밖에 없다는 마지막 믿음으로 이제 나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나 는 25년간 긴 트랙을 질주해왔다. 친구들을 넘어뜨린 것을 기뻐하면서, 나를 앞질러가는 친구들에 불안해하면서. 그렇게 ‘명문대 입학’이라는 첫 관문을 통과했다. 그런데 이상하다. 더 거세게 채찍질해 봐도 다리 힘이 빠지고 심장이 뛰지 않는다. 지금 나는 멈춰서서 이 트랙을 바라보고 있다. 저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취업이라는 두번째 관문을 통과시켜 줄 자격증 꾸러미가 보인다. 다시 새로운 자격증을 향한 경쟁이 시작될 것이다. 이제야 나는 알아차렸다. 내가 달리고 있는 곳이 끝이 없는 트랙임을.

이 제 나의 적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겠다. 이름만 남은 ‘자격증 장사 브로커’가 된 대학. 그것이 이 시대 대학의 진실이다. 국가와 대학은 자본과 대기업의 ‘인간 제품’을 조달하는 하청업체가 되었다. 기업은 더 비싼 가격표를 가진 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온갖 새로운 자격증을 요구한다. 10년을 채 써먹을 수 없어 낡아 버려지는 우리들은 또 대학원에, 유학에 돌입한다. ‘세계를 무대로 너의 능력만큼 자유하리라’는 넘치는 자유의 시대는 곧 자격증의 시대가 되어버렸다. 졸업장도 없는 인생이, 자격증도 없는 인생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학습된 두려움과 불안은 다시 우리를 그 앞에 무릎 꿇린다. 생각할 틈도, 돌아볼 틈도 주지 않겠다는 듯이 또 다른 거짓 희망이 날아든다. 교육이 문제다, 대학이 문제다라고 말하는 생각있는 이들조차 우리에게 이렇게 말한다. "성공해서 세상을 바꾸는 ‘룰러’가 되어라",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해. 나는 너를 응원한다", "너희의 권리를 주장해. 짱돌이라도 들고 나서!" 그리고 칼날처럼 덧붙여지는 한 줄,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그 결과가 무엇인지는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큰 배움 없는 ‘大學 없는 대학’에서 우리 20대는 ‘적자세대’가 되어 부모 앞에 죄송하다. 젊은 놈이 자기 손으로 밥을 벌지 못해 무력하다. 스무살이 되어서도 꿈을 찾는 게 꿈이어서 억울하다. 언제까지 쫓아가야 하는지 불안하기만 하다. 나는 대학과 기업과 국가, 그들의 큰 탓을 묻는다. 그러나 동시에 내 작은 탓을 묻는다. 이 시대에 가장 위악한 것 중에 하나가 졸업장 인생인 나, 나 자신임을 고백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나는 오늘 대학을 거부한다. 더 많이 쌓기만 하다가 내 삶이 시들어버리기 전에. 쓸모있는 상품으로 ‘간택’되지 않고 인간의 길은 ‘선택’하기 위해. 이제 나에겐 이것들을 가질 자유보다는 이것들로부터의 자유가 더 필요하다. 나는 길을 잃을 것이고 상처받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삶이기에, 생각한대로 말하고 말한대로 행동하고 행동한대로 살아내겠다는 용기를 내련다. 이제 대학과 자본의 이 거대한 탑에서 내 몫의 돌멩이 하나가 빠진다. 탑은 끄떡 없을 것이다. 하지만 대학을 버리고 진정한 大學生의 첫발을 내딛는 한 인간이 태어난다. 내가 거부한 것들과의 다음 싸움을 앞두고 말한다. 그래, “누가 더 강한지 두고 볼 일이다.”

Posted by wizysl
, |
삼성경제연구소가 삼성을 바꾸지 못하는 이유

이원재

 사람과 세상 2010/03/03 07:03
  http://blog.hani.co.kr/goodeconomy/28706

삼성경제연구소(SERI)에서 일하던 때, 저는 늘 궁금했습니다. 왜 SERI는 삼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을까요?

SERI는 정말 훌륭한 싱크탱크였습니다.

우선 좋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습니다. 설립 초기에는 '삼성의 직원'에 가까운, 실무자형 연구자라 많았다고 합니다. 실제로 다른 계열사에서 전배해 온 연구원도 꽤 있었다고 하고요. 그러나 2000년대 이후로는 다릅니다. 웬만한 대학의 교수로도 손색이 없는 연구자들이 이 곳으로 옵니다. 해외 유학파도 상당수이고요.

게다가 재원도 넉넉했습니다. 여느 연구소와는 달리, '먹고 살 것'이 넉넉했다는 이야기지요. 요즘은 재원이 풍족한 재단을 끼고 있는 곳을 빼면, 웬만한 대학 교수들조차 '먹고 살 것'을 위해 외부 프로젝트를 찾느라 여념이 없으시다고 하더군요. SERI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연구원이 먹고 살 것을 걱정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컨설팅 프로젝트에 투입되어서도, 상대적으로 당당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SERI는 많은 혁신적인 일을 해 내고 있었습니다. 고리타분한 연구소 이미지에서 벗어나 시의적절하게 현안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생산해 냈습니다. 연구보고서를 쉽게 작성해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SERICEO'라는 동영상 플랫폼을 개발해 고액의 유료 회원을 모집하는 데도 성공했습니다.

저는 더욱 궁금해졌습니다. 이렇게 훌륭한 싱크탱크가, 왜 삼성의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을까?

당시 삼성에서는 사회책임경영을 재정비해 사회와 소통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두 개의 핵심적인 문제, 지배구조와 비노조 경영 문제를 어떻게 해야 할 지 심각하게 고민할 법도 했습니다. 사회와의 소통 문제는 삼성에게 매우 심각한 위기를 몰고 올 수 있는 잠재 위험 요소였다는 인식이, 적어도 SERI 내부에는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대로 된 대응이 나오지 못했습니다. 고리타분하지 않고 시의적절하고 쉽고 유능한, 늘 그렇던 싱크탱크가 삼성의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전혀 그렇지 못 했습니다.

결국 이른바 'X파일'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삼성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사태는 일파만파로 커졌습니다. 결국 그 연장선에서 지금의 삼성까지 오게 된 것입니다.

왜 삼성경제연구소는 어찌 보면 일개 기업의 문제인, 삼성의 문제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을까요?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지요. 독립성이 문제였습니다. 사태를 객관적으로 볼 수 없는데, 제대로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요. 삼성 문제에 이르러서는, SERI 연구원 사이에서는 의견의 다양성과 논쟁이 사라졌습니다. 삼성 수뇌부의 이해관계가 얽힌 문제이니, '생각하는 힘'이 멈춰 버린 것입니다.

최강의 싱크탱크를 갖고 있음에도 '생각하는 힘'을 갖추지 못하고 있던 삼성은 결국 여러 가지 무리수를 두다가 문제를 지금까지 키워 옵니다.

SERI의 문제를 한국사회 전체는 갖고 있지 않을까요? 많이 배우고 똑똑한 사람이 많은 것 같아 보이는데, '생각의 힘'을 갖추고 있는 사회일까요? 독립적으로 객관적인 '생각'을 생산해 사회에 공급하는 사회의 싱크탱크가 충분히 있을까요?

한겨레경제연구소(HERI)가 출범 3주년을 맞아 수행한 한국 싱크탱크 지형도 연구 결과를 보면,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정책에 영향을 절대적으로 많이 끼치는 주요 싱크탱크 독립성은 빵점입니다. 기업연구소와 국책연구소가 그 자리를 독점하고 있습니다. 보수-진보 균형도 완전히 깨어진 상태입니다.

주요 싱크탱크는 기업과 정부의 이해관계만 갖고 있을 뿐, 시민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기업과 정부의 돈을 받아 운영하는 싱크탱크가 기업과 정부의 이해관계에 반하는 객관적 연구결과를 내놓을 수는 없겠지요.

진보적 싱크탱크는 먹고 살기조차 힘듭니다. 모두 영세합니다. 국민 세금 100억원이 투입되는 정당 연구소조차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나라당의 여의도연구소만 그나마 조금 영향을 끼친다는 응답이 나왔군요.

이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사회는 생각의 균형이 깨어져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생각하는 힘'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생각의 힘'에 기반을 둔 문제 해결도 못하고 있습니다. 싱크탱크는 우리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지도 못하고, 한국사회에는 사실 이상적 싱크탱크도 없다는 결과가 이런 어두운 현실을 보여줍니다.

아쉽지만 다른 나라, 미국의 싱크탱크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미국 사회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지만, 최소한 '생각의 힘과 균형'이라는 면에서는 우리보다 매우 앞서 있습니다.

워싱턴에는 보수적 싱크탱크 헤리티지와 진보적 싱크탱크 미국진보센터의 논쟁이 살아 있습니다. 브루킹스의 전통과 무게, 그리고 뉴아메리카파운데이션의 생각하는 방법의 혁신이 공존하기도 합니다. 어쨌든 '생각의 힘'이 살아 있고 균형이 있는 사회입니다. 그래서 논쟁도 있고 변화도 있습니다.

우리 사회를 잠깐만 돌아볼까요? 세종시 문제로 언론에는 늘 논쟁이 있는 것처럼 보도됩니다. 텔레비전 토론회에는 항상 논객들이 나와 자기 입장을 강변합니다. 신문마다 전혀 다른 방향의 사설이 매일 쏟아져 나옵니다.

그러나, 정말 우리 사회에 오로지 생각의 힘에 기반을 둔, 제대로 된 논쟁이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자기 밥그릇을 챙기려는 목소리 높은 이들의 말싸움만 있는 것일까요?

안타깝게도 지금은 후자에 매우 가깝습니다. 말싸움은 논쟁이 아닙니다. 생각의 독립성과 객관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논쟁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계획과 통제로 사회를 움직이던 과거에는 우격다짐으로도 사회가 발전할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사춘기를 벗어나 성인이 되려고 하는 지금은 다릅니다. 한국 사회에도 '생각의 힘'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생각이 나와 논쟁하고, 모두가 주체적으로 자기 생각을 취사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해관계로부터 독립적인 '생각의 탱크'가 다양해지고 균형이 잡혀야만, 우리 사회에 충분한 '생각'이 공급될 것입니다. 지금 우리에게는 독립 민간 싱크탱크가 필요합니다.

by 이원재(트위터 wonjae_lee, 한겨레경제연구소 홈페이지 www.heri.kr)
Posted by wizysl
, |
[여의춘추-변재운] 기여입학제를 검토해봐야 할 이유


[2010.02.08 18:01]   모바일로 기사 보내기   TClip으로 퍼가기


대학은 돈만 주면 얼마든지 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줘야”

돈은 좀 있는 사람이다. 미국에서 아이를 공부시켰는데 고교 졸업 후 명문 하버드대에 들여보내기 위해 기부입학을 타진했다. 얼마나 기부할 수 있느냐는 말에 100만 달러(약 12억원)를 제시했다고 한다. 그런데 기다려도 학교 측에서 연락이 오지 않았다. 후에 주변 사람들에게 들으니 500만 달러(약 60억원)는 돼야 입학허가가 떨어졌을 것이라고 하더란다.

우리나라 대학들이 기여입학제를 허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를 알 만하다. 하버드대에야 못 미치겠지만 기여입학제가 허용되면 우리나라 대학도 선호도에 따라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은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10억원으로 잡을 경우 10명이면 100억원, 100명이면 1000억원이다. 이사장님과 총장님 표정이 어떨지 궁금해진다.

우리나라는 대학입시에서 본고사, 고교등급제와 함께 기여입학제를 금지하고 있다. 소위 ‘3불 정책’이다. 이 중 다른 건 몰라도 기여입학제는 긍정적으로 검토해 봤으면 한다. 물론 기여입학제는 평등주의에 어긋나고, 금전만능주의가 상아탑에까지 침투한다는 비난을 받을 만하다. 하지만 도무지 해법이 안 보이는 교육문제에서 기여입학제가 오히려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먼저 대학등록금을 보자. 한해 등록금 1000만원 시대라고 하는데, 정말 없는 집에서 아이 대학공부 시키기는 쉽지 않다. 대학들의 극렬한 반대 속에 등록금 인상률을 물가상승률의 1.5배로 제한하는 등록금 상한제가 국회를 통과했지만 이 역시 앞으로 등록금이 물가보다 큰 폭으로 오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마다 장학금제도를 두고 있지만 가난한 학생이 받기는 어렵다고 한다. 등록금 마련하느라 이것저것 주야로 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니 공부시간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기여입학제를 허용하고 대신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낮출 수 있다면, 그러고도 남는 돈으로 가난한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많이 줄 수 있다면, 그로 인한 폐해는 감수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기여입학제로 들어오는 학생들 때문에 불합격하는 학생이 있겠지만 눈높이만 낮추면 다른 대학을 얼마든지 갈 수 있다. 지방에는 학생을 구하지 못해 안달하는 대학이 부지기수다.

기여입학제를 이야기하는 더 큰 이유는 이것이 뿌리 깊은 학벌주의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신입사원을 채용하 는 기업 입장에서는 지원자가 혹시 기여입학제 출신이 아닌지 의구심을 갖게 될 것이고 그러다 보면 점차 학벌보다는 능력 검증을 통해 채용과 승진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여입학제로 뽑는 인원을 너무 적게 할 필요가 없다. 기여입학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정원외 1∼2%를 이야기하지만 정원외든 정원내든 5% 이상으로 늘리는 것이 좋다. 그래야 학벌 희석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출신대학은 좋은데 일하는 게 영 시원찮은 사람을 보면 “저 친구 기여입학제 출신 아니야?”라는 비아냥이 나올 수 있는 수준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문제는 대학을 지고지순한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데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 사회에는 출신대학이 평생을 꼬리표처 럼 따라다니며 영향을 미친다. 그러다보니 ‘인생=대학’이다. 아이는 태어나자마자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한 생활을 시작한다. 그 아이가 대학을 졸업하고 결혼해서 아이를 낳으면 그때부터는 다시 2세의 대학입시를 위해 남은 모든 인생을 바친다. 부모의 고민과 자녀의 고통, 가정의 불화가 여기서 비롯된다. 우리는 왜 이런 형극의 삶을 계속 이어가야 하는지 답답하다.

모 든 교육문제 해결의 열쇠는 대학 졸업장이, 출신대학이 그 사람의 ‘능력인식표’처럼 간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의 권위를 무너뜨려야 한다. 대학이 대단한 게 아니라 돈만 주면 얼마든지 갈 수 있는 곳이고, 그 중 명문대는 좀 많이 주면 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기여입학제가 그 길을 찾아줄 수 있다면 해볼만 하지 않은가.

변재운 논설위원 jwbyun@kmib.co.kr

[자료출처]
쿠키뉴스 2010.2.8일자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386358&cp=nv

Posted by wizysl
, |

김영수·산업부장

한 국 소프트웨어 산업은 미래가 어둡다. 얼마 전 대통령 직속 미래위원회가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엄청난 예산을 퍼붓고 갖가지 대책을 세운다고 발표했지만, 뜬구름 잡는 허망한 이야기다. 현장의 전문가들은 그 상태로는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이 절대로 세계 일류로 도약할 수 없다고 말한다. 정말로 우리 대기업과 정부는 '무식한 욕심꾸러기' 수준밖에 안 되는가.

정부가 발표한 소위 'IT(정보기술)코리아 5대 미래 전략' 중 소프트웨어 육성 대책을 들여다보자. 1. 소프트웨어 공학센터를 설립, 소프트웨어 장학생을 선발하고 품질개선 연구개발에 나선다. 2. 소프트웨어 분리발주를 의무화하고 불법 복제 단속을 강화한다. 한마디로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실상을 얼마나 몰랐으면 이런 대책이 나올까?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하나는 대기업 계열사이고 나머지는 독립 소프트웨어 업체다. 문제는 대기업 계열사가 일으킨다.

삼성·현대차·LG·SK·포스코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30대 그룹 대기업들은 소프트웨어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예컨대 삼성그룹 계열사는 IT 업무의 대부분을 삼성SDS에 발주한다. LG그룹은 LG CNS가, SK그룹은SK C&C가 물량을 도맡아 처리한다. 이들 대기업 업체들은 그룹 물량을 독차지하고 그것도 모자라 매출을 늘리고 가동률을 높인다는 이유로 일반 시장에는 덤핑으로 들어간다.

대 기업 계열사의 입장에서는 확실한 그룹 물량을 비싼 가격으로 확보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 발주 시장에 덤핑으로 들어가도 큰 손해는 없다. 오히려 정부 발주 물량에 낮은 가격으로 들어가면 그룹에서 비싸게 받은 물량을 물타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대 기업들이 매일 덤핑하는 마당에 창의력 하나로 승부하는 독립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중소업체들은 대기업 시장은 구경조차 할 수 없고 얼마 남지 않은 정부 발주 물량마저 덤핑하는 대기업에 빼앗긴다. 그 결과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의 80%는 외국산이 차지하고 있고 공공기관마저 오라클, SAP 같은 외국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왜곡된 소프트웨어 시장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담당 공무원은 독립 소프트웨어 업자들이 대기업 계열사에 맞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예컨대 정부 발주 물량에 대해서는 입찰 업체에 회계를 분리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방법이다. 정부 발주 물량에 한해 회계를 따로 하는 기업에는 입찰 가산점을 주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한다면 왜곡된 시장 질서를 조금이라도 바로잡을 수 있다.

회계를 분리할 경우, 정부 물량으로 얼마나 이익을 보고 손해를 봤는지 명확하게 드러난다. 즉 대기업 계열사들은 함부로 덤핑 입찰을 하지 못하고 여기다 모기업으로부터 얼마나 비싼 가격으로 지원받았는지도 드러난다.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광고 시장도 마찬가지다. 지금같이 대기업들이 너나 할 것 없이 계열 광고 회사를 만들면, 독립 광고회사는 설 땅이 없다. 세계 수준의 광고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작품은 더욱 기대하기 힘들다.

삼 성은 제일기획, 현대기아차는 이노션, SK는 SK 마케팅&컴퍼니, GS는 실버불렛같이, 거의 모든 대기업이 그룹 광고가 매출의 절반을 넘는 계열 광고회사를 갖고 있다. 또 대기업 오너 일가 중 상당수가 계열 광고 회사의 대주주이기도 하다.

우 리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으로 도약하려면 소프트웨어나 광고 산업같이 창조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세계 일류가 나와야 한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함께 살 수 있도록 공정한 경쟁의 틀을 만드는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했으면 한다.

Posted by wizysl
, |

[참고자료]
다음 자녀교육 부의금 쓰는 양식
http://k.daum.net/qna/view.html?qid=01yh0
Posted by wizysl
, |
http://www.youtube.com/watch?v=q9Dq5xgfTE4&feature=player_embedded

관세청은 최근 5년(2007~2011) 동안 커피 수입량이 9만1000톤에서 13만톤으로 143% 증가했고, 커피 수입액은 2억3100만 달러에서 7억1700만 달러로 310% 늘어났다고 집계했다. 20세 이상 성인 1인당 커피소비량은 2007년 247잔에서 2011년 338잔으로 137% 늘어났다. 아메리카노 한 잔을 3000원이라고 가정하면 성인 1명이 1년 동안 101만4000원어치의 커피를 마시는 셈이다.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나은영 교수는 국내 커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우리 문화적 특성 중에 ‘빨리빨리 문화’와 연계해 생각해 볼 수 있다”면서 “무엇이든 빨리 끝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맑은 정신, 깨어있는 정신으로 일에 몰두해야 하기 때문에 커피의 ‘각성’ 효과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커피 시장의 규모는 지난해 4조원을 넘어섰다. 시장전문조사기간 AC닐슨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커피 시장은 2007년 1조5580억원에서 2012년 4조1300억원으로 2.5배 커졌다. 인스턴트의 성장세는 다소 둔화세를 보이는 반면, RTD(Ready to Drink)음료와 커피전문점의 매출은 늘어나는 추세다. 커피전문점의 점유율은 2007년 28%에서 매년 성장해 37%까지 올랐다.

 이와 함께 커피전문점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2012 한국유통연감 및 한국기업콘텐츠진흥원은 국내 커피전문점이 2012년 말 1만5000개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했다. 제과점, 생과일주스전문점, 음식점 등 커피를 판매하는 곳까지 포함하면 약 3만개. 전문가들은 커피전문점이 증가하는 이유가 공간의 개념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스타벅스 반포역점 박윤정 부점장은 “고객들이 커피숍을 단순히 커피만을 마시는 공간이 아닌 휴식과 모임의 장소, 기분 전환 등의 공간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커피소비량은 2.1kg으로 적은 수준이다. 룩셈부르크 국민은 1인당 연간 20kg이 넘는 양의 커피를 마시며, 핀란드(12kg)와 미국(6kg)이 뒤를 잇는다. 국내 커피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이제 커피전문점의 양적 성장이 주춤하면서, ‘품질경쟁시대’에 들어섰다”면서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지식이 많아지게 되었고, 이것은 질 좋은 커피의 니즈(needs)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인스턴트커피 시장의 경우 소비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업체 외에 새로운 기업이 참여해 유통전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두커피의 경우도 마찬가지. 업계 관계자는 “인스턴트커피의 수요가 원두커피로 대체되는 현상이 당분간 이어진다면 커피수입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면서 “경기의 영향으로 중저가 제품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마니아층에서는 스페셜티 커피(Specialty Coffee) 시장도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은나 객원기자

[참고자료]
중앙일보 2013.4.25일자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333430&ctg=1200


Posted by wizysl
, |

1. 축의금 봉투

ㄱ) 봉투 앞면(세로줄이 없는 면) 에

祝 結婚 (축 결혼)  祝 華婚 (축 화혼)

祝 約婚 (축 약혼)

 


1주년

지혼식(紙婚式)

10주년

석혼식(錫婚式)

30주년

진주혼식(眞珠婚式)

2주년

고혼식(藁婚式)

12주년

마혼식(痲婚式)

35주년

산호혼식(珊瑚婚式)

3주년

과혼식(菓婚式)

15주년

동혼식(銅婚式)

45주년

홍옥혼식(紅玉婚式)

4주년

혁혼식(革婚式)

20주년

도혼식(陶婚式)

50주년

금혼식(金婚式)

5주년

목혼식(木婚式)

25주년

은혼식(銀婚式)

60.75주년

금강혼식(金剛婚式)

7주년

화혼식(花婚式)






ㄴ)  A4 용지등으로 단자를 써서 돈을 싸서 넣는 것이 예의이기는 하다.


2. 기타 축의금 문구

 

ㄱ) 생일/생신
祝 生日 (축 생일)  祝 生辰 (축 생신)
祝 壽宴 (축 수연)  祝 華甲 (축 화갑)
祝 回甲 (축 회갑)  祝 古稀 (축 고희)


ㄴ) 승진, 취임, 영전
祝 昇進 (축 승진)  祝 榮轉 (축 영전)
祝 就任 (축 취임)  祝 轉任 (축 전임)
祝 移任 (축 이임)  祝 遷任 (축 천임)
祝 轉役 (축 전역)


ㄷ)  개업, 창립
祝 發展 (축 발전)  祝 開業 (축 개업)
祝 創立 (축 창립)  祝 盛業 (축 성업)
祝 繁榮 (축 번영)  祝 創設 (축 창설)
祝 創刊 (축 창간)  祝 移轉 (축 이전)
祝 開院 (축 개원)  祝 開館 (축 개관)

ㄹ) 이사, 입주
祝 入宅 (축 입택)  祝 入住 (축 입주)
祝 家和萬事成 (축 가화만사성)


ㅁ) 건축, 공사
祝 起工 (축 기공)  祝 竣工 (축 준공)
祝 完工 (축 완공)  祝 竣役 (축 준역)

ㅂ) 수상
祝 當選 (축 당선)  祝 優勝 (축 우승)
祝 入選 (축 입선)

3. 조의금

ㄱ) 상가
조위금(조의금) 봉투에는 앞 중앙에는

부의(賻儀) 또는 근조(謹弔) 등을 쓰고,

뒤 왼쪽 아래에는 이름을 역시 세로로 적는다.

봉투 앞쪽에 부의와 이름을 쓰고 뒤쪽 왼쪽 아래에 주소를 적기도 한다.

역시나 봉투 속의 돈은 단자로 싸야 예의에 맞다.

단자에는 오른쪽부터 ‘부의’ 또는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라고 쓴다.

賻儀 (부의)  謹弔 (근조)
追慕 (추모)  追悼 (추도)
哀悼 (애도)  弔意 (조의)
慰靈 (위령)
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ㄴ) 병 문안
祈快癒 (기쾌유)  祈完快 (기완쾌)

4. 기타 문구

貴下(귀하)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貴中(귀중)

단체에 보낼 경우

님께

한글식으로 쓸 경우

展(전), 卽見(즉견)

손 아랫 사람에게

大兄(대형), 仁兄(인형)

친하고 정다운 사이에

先生(선생)

은사 혹은 사회 저명 인사에게

女史(여사)

일반 부인에게

座下(좌하)

공경해야 할 어른, 조부모, 선배, 선생

畵伯(화백), 雅兄(아형)

화가나 문학상의 친구에게

親展(친전), 親披(친피)

타인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때

直披(직피)

손아랫 사람의 경우 남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때

至急(지급), 大至急(대지급)

지급을 요할 때

原稿在中(원고재중)

원고가 안에 들어있을 때

願書在中(원서재중)

원서가 안에 들어있을 때



Posted by wizysl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