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학]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청국장의 숙성 중 화학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
 |
답변자 :
비공개 |
작성일 : 2005-09-03 14:53
|
|
|
|
 |
|
 |
아래의 자료를 참고해 보시면 어떨까요?
간장, 된장, 청국장 등은 콩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의 필수 영양소가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
한식 장류는 그 역사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전통적인 한국 음식의 맛을 내는 기본 식품일 뿐만 아니라 단백질 공급원의 식물성 식품으로서 그 기능성의 연구가 점차 증대될 것으로 본다.
장류는 대두 가공식품 중에서 식품기술사적 측면, 생활문화사적 측면으로도 가장 대표적인 한국의 순수한 가공식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장류는 생리활성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앞으로 대두 발효식품으로서 식품학적, 영양학적 그 가치가 크게 기대된다.
특히 청국장은 발효 숙성 과정 중에 Bacillus natto, Bacillus subtilis 등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하여 대두 단백질이 분해되어 소화 흡수율이 증가되고, 끈끈한 점질물이 생성되어 특유의 냄새와 맛을 발현한다.
또한 청국장은 다른 장류 식품에 비해 영양면에서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은 고 영양 식품이며, 정장 작용과 함께 간장을 보호해 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국장에 의한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청국장의 메탄올 추출물이 직접 변이원과 간접 변이원의 돌연변이성을 완전히 억제하며, 쥐의 암세포와 사람의 암세포 모두 성장 억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
와 같은 장류의 원료인 콩에는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 같은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영양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반면에 가공, 저장 중에 산소의 노출에 의해서 酸敗되기 쉬운 결점을 가지고 있다.
脂質의
산패는 불포화 지방산의 자동 산화에 의한 것으로 O₂가 지방산의 불포화기를 공격하여 hydroperoxide의 생성과 분해가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악취를 내고, 필수 지방산과 비타민의 손실을 일으켜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산화에 의해
형성된 여러 종류의 유기산, alcohol, aldehyde, ketone, lactone 등의 분해 산물들이 생체 내에서
DNA를 손상시키거나 암을 유발하기도 하여 세포의 노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질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산소 제거, 자외선 차단, 항 산화제 첨가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중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항 산화제를 직접 첨가하는 것이다.
ㅇ 김병묵, 피망고추의 조 lipase activator의 분리와 그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2, 1990.
ㅇ 김복란 외 3인, 향미성 Natto의 향미성분, 지방산 및 유기산 함량 분석, 한국영 양식량학회지. 25, 1995.
ㅇ 김재현 : 청국장 발효조건에 따른 주요향기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건국대 농 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ㅇ 농촌영양개선연구원, 식품 성분표, 농촌진흥청, 1991.
ㅇ 박건영 : 재래식 된장의 Aflatoxin에 대한 안정성 및 항암효과, 전통 콩 발효식 품의 기능 및 생리적 활성에 관한 국제 심포지움. 서울:건국대 식품개 발연구소, 1996.
ㅇ 보건복지부, 식품공전, 1995.
ㅇ 복진영 : 청국장 메주발효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및 숙성중 Alkyl pyrazine류의 변화,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ㅇ 성낙주 외 2인, 청국장 발효중 질소화물의 변화,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3, 1984.
ㅇ 손양도 외 4인, 한국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 지질 지방조성의 변화, 한국농 화학지. 28, 1985.
ㅇ 신영근 : 청국장 숙성과정 중 염도와 알코올 함량에 따른 유기산의 변화, 건국 대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ㅇ 신효선, 식품분석, 1987.
ㅇ 양수동 외 2인, 개량메주의 숙성과정중 지질조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 학회지. 12, 1983.
ㅇ 윤태헌 외 2인, 한국산 콩의 품종별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4, 1984.
ㅇ 이민자, 지질영양의 중요성, 한국영양학회지. 5, 1984.
ㅇ 이숙희 외 1인, 한국장류식품의 지질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4, 1985.
ㅇ 정건섭, 윤기동, 홍석산, 권동진 : 전통 장류의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성에 관한 연구. 전통 콩발효식품의 기능 및 생리적 활성에 관한 구제 심포지움, 건국대 식품개발연구소, 1996.
ㅇ 채재희 : 냉동 저장과 조리법이 닭고기의 지질 산패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2.
ㅇ
Farag.R.S, Ali, M.N and Taha, S.H : Use of some essent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s fir butter. J. Am. Oil Chem. Soc., 67, 1990.
ㅇ Official Methods of Analysis(AOAC), 16th, Vol 2, 1995.
ㅇ
Doi, Y., Tsugita, T., and Kunata, T. and kato, H. : Change of headspace
volatile componants of soybeans during roasting. Agric. Biol. Cham.,
44, 1980.
원문보기 : 파란 지식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