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세상에 떠도는 수많은 느낌과 아이디어! 같은 느낌, 비슷한 생각.... 어때요? wizysl

카테고리

전체보기 (5131)
ysl* 아이디어 (346)
ysl* 사람들 (552)
ysl* ndns 내돈내산 (134)
ysl* 맛 (278)
ysl* 건강 (34)
ysl*sports (9)
ysl* 컨텐츠 (1829)
ysl* 트래블 (543)
ysl* 랭킹 (221)
ysl* 하드웨어 (377)
ysl*mobile (317)
맥HW (93)
맥SW (198)
맥Korea (81)
ysl*admin (1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4년 17권 3호 p.260 ~ p.265

Purge and Trap Headspace 법에 의한 솔잎(Pinus densiflora S.)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 by Purge and Trap Headspace

이재곤 (  ) - KT&G 중앙연구원

이창국 (  ) - KT&G 중앙연구원
장희진 (  ) - KT&G 중앙연구원
곽재진 (  ) - KT&G 중앙연구원

- Abstract -

솔 잎(Pinus densiflora S.)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시간과 온도를 달리하면서 headspace(purge & trap)-GC/MS로 분석하여 총61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을 관능기별로 분류하여 보면 hydrocarbons 35종, alcohols 16종, carbonyls 4종, ethers 3종, esters 2종, acid 1종으로 나타났다. 솔잎에서 확인된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lpha-pinene(1.5~15.7%), beta-pinene(0.4~5.4%), beta-myrcene(13.2~15.6%), beta-phellandrene (12.0~16.0%), cis-3-hexenol(4.0~18.3%), $\beta$-caryophyllene (3.6~6.8%)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headspace(purge & trap)법에 의해 솔잎의 휘발성 성분 분석시 최적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실온에서 2시간과 20시간동안 추출한 것과 6$0^{\circ}C$에서 2시간과 20시간동안 각각 추출했을 때 실온에서 2시간 추출시 가장 많은 56개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실온에서 2시간 추출시 가장 적은 45개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시험조건에 따른 휘발성분 분석에서 비점이 낮은monoterpenes화합물들은 추출시 초기에 주로 추출되어 지고 alcohols류와 비점이 높은 sesquiterpenes 화합물들은 추출시간을 길게 했을 때 더 많은 성분이 추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가지 추출조건을 종합해 볼 때 고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60^{circ}C에서 20시간 추출이 가장 양호하나, 전반적으로 실온에서 20시간 추출이 가장 적합한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Volatile components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 were isolated by purge & trap headspace techniqu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And then volatile components were extracted for 2 hr and 20 hr at the two different temperature settings: room temperature and 60^{circ}C. A total of 61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the four different conditions. These compounds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in terms of chemical functionality: 35 hydrocarbons, 16 alcohols, 4 carbonyls, 2 esters, 1 acid and 3 ethers. The major components were {alpha}-pinene(1.5~15.7%), {beta}-myrcene(13.2~15.6%), {beta}-phellandrene(l2.0~16.0%) and cis-3-hexenol(4.0~18.3%). In the comparison of the four extraction conditions, longer extraction can be effective to extract components that have a high boiling point, but proved useless in obtaining low boiling point components. As a result of these experiments under the four different conditions, the 20 hr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ppeared to be the most optimized condition for the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by using the purge & trap headspace technique.

'ysl* 맛 > 식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래기와 우거지  (0) 2008.10.12
솔잎 관련 논문 및 대학 연구  (2) 2008.05.09
지리산 송순주 - 솔잎 성분 술  (0) 2008.05.09
솔잎 첨가 청국장  (0) 2008.05.09
솔잎 향기성분  (0) 2008.05.09
솔잎 건강요법 - 농본  (0) 2008.05.09
솔잎 성분 분석  (0) 2008.05.09
위클리조선 식품재료 연재  (0) 2008.04.03
호두  (0) 2008.04.03
현미  (0) 2008.04.03
Posted by wizysl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