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홍의 소프트파워] 사랑이 우리를 견디게 한다
ysl* 컨텐츠/그한마디 / 2010. 12. 25. 20:45
모든 삶은 처음이나 중간이나 마지막이나
예외 없이 고통과 슬픔을 수반하겠지만
그래도 견딜 수 있는 것은 사랑 때문이다 !
정진홍논설위원
# “레아를 위하여!” 영화 ‘더 콘서트’에서 30년 동안 악기를 손 놓았던 이들이 다시 모여 기적처럼 신들린 연주를 하게 만든 마법 같은 주문이다. 영화 속에서 볼쇼이 교향악단의 지휘자 안드레이는 유대인 단원들을 퇴출시키라는 당 상부의 명령에 불복한 죄로 연주회마저 강제로 중단당한 채 지휘자의 자리에서 졸지에 극장 청소부로 전락했다. 하지만 그는 우연히 볼쇼이 극장장의 방을 청소하다 파리에서 날아온 초청 공문을 보고 30년 전 함께 쫓겨난 단원들을 모아 파리 공연을 가기로 마음먹는다. 생활고에 시달려 악기까지 팔아먹은 단원들을 수소문해 우여곡절 끝에 그들은 파리로 향했다. 하지만 파리에 도착하자 그들은 모두 제각각의 이유로 뿔뿔이 흩어져 콘서트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결국 그들은 “레아를 위하여!”라는 한마디에 콘서트홀로 다시 모여들었다. 그리고 시베리아로 유형 가서 죽은 레아와 그의 연인 이삭을 떠올리며 제대로 된 리허설 한번 해보지 못한 오케스트라가 생애 최고의 연주를 해냈다. 그 마법의 비밀은 다름 아닌 사랑이었다.
# 지난 수요일 오후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는 정명훈의 지휘 아래 서울시향과 국립합창단 등이 베토벤 교향곡 9번 일명 ‘합창’을 연주했다. 베토벤은 교향곡에 사람의 목소리를 넣어 더욱 장엄한 대서사시 같은 교향곡을 만든 최초의 사람이다. 그는 이 교향곡 악보에 육필로 실러의 ‘환희의 송가’를 떠올리며 “만민들이여, 서로 껴안으라!(Seid umschlungen, Millionen!)”고 써놓았다. 그렇다. 위대한 베토벤을 더욱 위대하게 만든 그의 마지막 교향곡이 당대는 물론 후세의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오직 하나, “서로 껴안으라”는 사랑의 메시지다. 인류를 살리고 지구를 살리며 너와 나를 살리는 유일한 자원은 다름 아닌 사랑이다. 그것은 푸면 풀수록 더 많아지고, 나누면 나눌수록 더 커지는 신비한 자원이다. 모든 지식, 사상, 종교, 철학 위에, 그리고 그 어떤 금력과 권력과 권세보다 더 높고 크고 깊은 것이 사랑이다.

정진홍 논설위원 [자료출처] 중앙일보 2010.12.25일자
'ysl* 컨텐츠 > 그한마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인재포럼 2010에서 나온 전문가 제언 10가지 (0) | 2011.01.21 |
---|---|
왜 이공계는 뜨고 인문계는 하락할까 (0) | 2011.01.20 |
좋은방 구하기 노하우 (0) | 2011.01.09 |
크리스마스 카드 문구를 한국 가요에서 찾다 (0) | 2010.12.25 |
[노재현의 시시각각] 다미안과 이태석 (0) | 2010.12.25 |
멋쟁이는 쿠페를 좋아해 (0) | 2010.12.24 |
[도정일의 人 + 文] 인문학 사유의 네가지 책임 (0) | 2010.12.20 |
연평해전 전사자를 위한 기도문 (0) | 2010.11.26 |
전경린의 '엄마의 집' 에서 (0) | 2010.11.14 |
[매거진 esc] 이기호의 독고다이 상담실 - 서른 앞두고 밴드드러머의 미련이 꿈틀거려요 (0) | 201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