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우 박사님의 세벌식 자판
ysl* 아이디어 / 2007. 2. 14. 23:04
내가 왜 세벌식 자판, 엄밀히 말하면 세벌식 390자판을 택했을까? 아직 개인용 컴퓨터가 귀하던 80년대 초. 국어를 좋아하고 글씨를 못 쓰던 고등학생이
대학에 합격했을 때,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타자기였다.
그때 자연스런 선택이 세벌식 타자기였다.
국어를 매우 잘했던(^^) 이과생에게 우리 한글에 대한 합리적인 자판이 세벌식이었고, 뿌리깊은나무 라는 잡지 때문에 세벌식 타자기의 글자체가 예뻐 보였던 것이 원인이라면 원인이었을까?
세벌식에 대한 편견이 없었으니 나는 세벌식 390 자판 사용자가 되고 말았다.
이를 만든 분이 공병우 박사님(http://wizysl.tistory.com/1017)이시다.
2007년 1월 공병우 박사님 탄신 백 주년이다. 한글 문화원 홈페이지를 가 보았다.
http://moonhwawon.ye.ro/
[ 그림 출처]
세벌식 자판 그림 - 세벌식 사랑 모임
http://paero3.myzip.co.kr/sebeol_keyboard/hangeul_keyboard_layout.htm
세벌식에 대한 편견이 없었으니 나는 세벌식 390 자판 사용자가 되고 말았다.
이를 만든 분이 공병우 박사님(http://wizysl.tistory.com/1017)이시다.
2007년 1월 공병우 박사님 탄신 백 주년이다. 한글 문화원 홈페이지를 가 보았다.
http://moonhwawon.ye.ro/
[ 그림 출처]
세벌식 자판 그림 - 세벌식 사랑 모임
http://paero3.myzip.co.kr/sebeol_keyboard/hangeul_keyboard_layout.htm
'ysl*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틀래치 (0) | 2007.02.19 |
---|---|
TBWA\korea (0) | 2007.02.19 |
화학 관련 이름을 사용하는 tistory 블로그들 (0) | 2007.02.18 |
[펌] 한국 포털 낚아채려는 구글 [조인스] (0) | 2007.02.17 |
palm의 그래피티 (0) | 2007.02.14 |
세계를 살릴 8가지 기술 (0) | 2007.02.13 |
인쇄된 잡지와 똑같은 잡지 브라우징 솔루션 (0) | 2007.02.13 |
하드 디스크 복구 (0) | 2007.01.26 |
프랭클린 플래너 (0) | 2007.01.26 |
2006년 IT 업계 동향 10가지 (0) | 2006.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