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중앙일보" 컬럼 (루이뷔통 사는 부자 vs. 발렉스트라 사는 부자, 2012.1. 10에서 .)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이 수입한 "이탈리아의 에르메스" 발렉스트라를 격조 있는 부자들의 명품이라고 소개했다.
솔직히 루이뷔통이 현대 소나타라면 발렉스트라는 기아 K5 라고 할만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참고자료]
‘명품=부자’라는 인식은 우리 사회에서 ‘배고픈 부자’가 ‘품격 부자’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일종의 통념이다. 과거 럭셔리
브랜드 제품의 소비를 언급할 때에는 항상 배고픈 부자의 절약 또는 검소함을 대비시켰다. ‘명품 소비=과소비’나 ‘비합리적
소비’라는 통념을 적용했다. 언제부터인가 ‘럭셔리 브랜드’ 제품을 ‘명품’이라고 부르면서 부자의 장식품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아니, 배고픈 부자들이 ‘품격 부자’로 변신하려 할 때 필수적으로 가져야 하는 항목들이 됐다.
똑같이 돈이 많은 부자라 하더라도 배고픈 부자는 명품 소비를 잘하지 못한다. 이들이 보이는 검소한 옷차림과 낡은 구두는 계속 부를
늘려야 한다는 빈곤한 마음 그 자체를 대변한다. 이에 비해 품격 부자는 자신의 부를 활용하는 사람이다. 럭셔리 브랜드 제품의
소비는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다. 일상의 소비 행동일 뿐이다. 누군가 자신의 물건을 ‘명품’이라 언급하는 것조차 불편하다. 더
이상 타인의 인정이나 관심을 원하지 않기에 누군가 명품을 언급하면 그냥 “나도 알거든, 그 정도는” 하는 태도다. 명품 소비가
생활화된 ‘생활형’ 명품 소비자들이다.
명품에 대한 나름대로의 경험과 철학이 있으며, 어느 정도의 지식과 정보는 필수다. 자신이 선호하는 명품 브랜드가 있다. 자신의
스타일에 맞으면 가격에는 구애받지 않고 구매한다. 누구나 럭셔리 제품을 필수품처럼 갖추려는 것은 생활형 부자처럼 보이고 싶은
마음의 표현이다. 과시나 허영이란 이런 경우를 지칭한다.
명품을 생활화한 부자와 달리 명품 브랜드 소비를 자신의
격조의 상징으로 만들려는 부자들도 있다. 이들은 럭셔리 제품을 일용품 수준으로 소비하지는 않는다. 단지 ‘문화와 예술에 기반한
정신적 럭셔리’라는 자기만의 소비 기준이 있다. 명품이 표방하는 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전통을 자신의 스타일로 삼으려 한다. 바로
‘격조형’ 명품 소비자들이다. 아무 로고도 찾을 수 없어 ‘아는 사람들끼리만 알아보는’ 명품 브랜드인 발렉스트라가 인기를 끄는
것도 이들 사이에서다.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이 수입한 이 브랜드는 ‘이탈리아의 에르메스’로 불린다.
이들도 명품
구매에 익숙하며, 비교적 높은 수준의 문화적 취향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특정 브랜드에 대한 로열티는 낮다. 단지 의식주에서
먹고사는 문제를 넘어선 사람들이다. 그리 큰 부자는 아니지만 자신이 가진 문화나 예술 등의 소양을 통해 자신의 삶을 품격 있게
만들려 한다. 자연 친화적 삶을 추구하며 ‘명품 삶’ ‘웰빙 삶’을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