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고추 -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ysl* 맛 / 2007. 9. 21. 09:35
한국인 식탁의 매운 맛을 책임지는 영양 고추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 새빨갛게 잘 익은 영양고추 말리기(사진제공 : 영양군청)
청정한 자연이 살아 숨쉬는 고장인 경상북도 영양군은 경북 내에서도 비교적 오지에 속하는 곳이다.
수도권에서 가자면 교통이 불편하고 내륙에 깊숙히 들어앉아 ‘육지 속의 섬’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산이 높고 골이 깊기에 ‘서리는 흔하고 햇빛은 귀하다’라는 소리도 들어왔다. 자연 조건이 그렇다 보니 요즘 같은 시대에 와서는 오히려 청정함을 자랑하는 웰빙의 고장으로 대접받기 시작했다.
경상북도 내에서 울릉군을 제외하고는 거주 인구가 2만여 명으로 가장 적다는 영양군은 첫인상부터가 강원도 오지를 닮았다는 느낌이다. 군내 이곳저곳 도로를 달려봐도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반드시 넘어야 하고 고도계는 평균 해발 5백m를 가리킨다. 이렇듯 악조건의 지형을 극복하고 소득을 올리기 위해 영양 주민들은 옛날부터 부지런히 고추농사를 지었다.
▲ 고추 수확에 여념이 없는 마을 주민들(사진제공 : 영양군청)
영양에서는 8월 초순이면 고추 수확이 시작돼 강렬한 태양 아래 건조되는 단계로 넘어가는데 이때는 영양 산천이 빈 곳 없이 붉은 빛으로 물든다.
영양읍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입암면의 선바위관광지 내에 위치한 영양고추홍보전시관을 만난다. 이 곳은 영양고추의 우수성은 물론 고추의 모든 것을 한 자리에서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공간이다. 홍보관, 테마관, 전시판매장 등으로 구성돼 있다. 홍보관은‘영양고추의 우수성’,‘영양의 고추축제’,‘영양고추를 만드는 사람들’이라는 주제 하에 다양한 전시물을 갖췄다. 테마관은‘고추이야기’,‘고추 재배의 변천 과정’,‘고추의 우수성’,‘생활 속의 고추’등으로 꾸며졌다.
▲ 주변 경관이 잘 꾸며져 있는 고추홍보전시관
상 세한 설명문을 담은 대형 패널, 아기자기한 고추음식 모형, 풍부한 사진 자료, 고추농사 모형, 여러 가지 고추 종자 등을 통해 관람객들은 짧은 시간에 영양 고추의 우수성을 이해하게 되고 고추 박사라도 된 듯한 기분에 젖는다. 영양고추홍보전시관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동절기에는 오후 5시) 개관하며 월요일에는 휴관하고 입장료는 없다.
이 전시관 맞은편에는 영양분재수석야생화전시관도 있다. 130여 점의 분재, 50여 점의 수석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야생화를 감상하기에 좋은 곳이다. 이곳 역시 입장료는 없다. 전시관 뒤편 마당에는 맨발 지압로가 만들어져 있고 반변천 위에 놓인 석문교라는 다리를 건너면 남이포 강변 정자까지도 산책을 다녀올 수 있다.
▲ 남이장군의 기백이 살아 숨쉬는 남이포
영 양읍내 북쪽에 자리한 일월면의 주실마을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는 영양고추유통공사가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영양군에서 생산되는 고추를 수매해서 첨단가공시설로 소비자 손에 들려질 명품고춧가루를 생산해낸다. 여기서 가공된 영양 고추는 ‘빛깔찬’이라는 브랜드로 전국에 유통된다. 외지에서 온 여행객들을 위한 관람로와 판매장도 곧 설치될 계획이다. 영양고추와 고추장 구입 문의는 영양고추 유통공사 외에 영양군청 농정과(054-683-2364)나 농협중앙회 영양군지부(054-683-2181)에서도 받는다. 고추 외에도 영양의 특산물로는 사과, 벌꿀, 산나물, 상황버섯, 더덕, 천마, 메주, 전통민속주인 초화주 등이 손꼽힌다.
▲ 승무, 고풍의상으로 유명한 조지훈을 기념하는 문학관 전시실
영 양고추홍보전시관과 영양고추유통공사를 들러본 다음 편안한 마음으로 영양의 명소들을 여행해보자. 문인들의 발자취를 만나보고 싶다면 시인 조지훈의 생가와 지훈기념관이 있는 일월면 주실마을, 시인 오일도의 생가가 남아있는 영양읍 감천마을, 소설가 이문열의 고향인 석보면 두들마을 등을 찾아 가본다.
▲ 몸과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검마산 휴양림
낙 엽 떨어지는 산의 정취에 젖고 싶다면 일월산이나 검마산휴양림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해발 1,218m인 일월산은 산세가 웅장하고 거대하며 정상에서는 동해가 보인다. 해와 달이 솟는 것을 인근에서 가장 먼저 본다 해서 일월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정상 부근의 방송사 통신탑 입구에는 산령각과 황씨 부인당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까지는 시멘트 포장도로여서 자동차들이 올라갈 수 있다.
1997년 문을 연 검마산휴양림은 수비면소재지에서 10리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숙박시설인 산림문화휴양관(2동), 야영데크장, 상설텐트장, 등산로, 산책로, 체력단련시설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그밖에 천체 관측에 관심을 가진 여행객들은 영양반딧불이천문대(수비면 수하리 소재)를 찾아가보자.
1층은 천체투영실과 전시관으로, 2층은 다양한 망원경의 원리를 이해시키는 공간으로, 3층은 주관측돔과 보조관측실, 관망대로 구성되어 있다.
▲ 노란 단풍이 아름다운 서석지의 가을 풍경(사진제공 : 영양군청)
영 양군의 대표적 문화유적지는 입암면 연당리에 소재한 서석지. 4백년 된 은행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드리워주는 이곳은 보길도의 부용원, 담양의 소쇄원과 더불어 3대 한국 정원으로 손꼽힌다. 조선 광해군 때 성균관 진사를 지낸 석문 정영방선생이 조성한 민가 정원이다. 연못 주변에는 소나무, 대나무, 매화나무, 국화를 심어 선비의 지조를 상징한다.
서석지로 가려면 영양과 진보를 잇는 31번 국도상의 신구삼거리에서 연당리로 꺾어져 가야하는데 그 초입에서 선바위와 남이포라고 하는, 반변천이 만들어낸 멋드러진 지형을 감상할 수 있다. 동천과 반변천의 두물머리에 우뚝 솟아있는 기암이 선바위이고 이곳 강변을 남이포라고 부른다.
이밖에 입암면의 봉감모전5층석탑(국보 제187호), 현리3층석탑(보물 제610호), 화천리3층석탑(보물 제609호) 등과 입암면의 영양산촌생활박물관 등도 영양군 여행 시 들러볼만한 명소들이다.
●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영양군청 www.yyg.go.kr
- 검마산자연휴양림 www.huyang.go.kr
○ 문의전화
- 영양군청 문화관광과 054)680-6062, 6067
- 영양고추유통공사 054)682-9797
- 지훈문학관 054)682-7763
- 영양고추홍보전시관 054)682-6271
- 영양분재수석전시관 054)682-6070
- 영양반딧불이천문대(생태학교) 054)683-8685
- 영양산촌생활박물관 054)680-6046
○ 대중교통 정보
[ 버스 ]
- 서울 - 영양 / 하루 3회, 5시간 소요
- 대구 - 영양 / 하루 31회, 2시간 40분 소요
- 안동 - 영양 / 하루 38회, 1시간 30분 소요
- 봉화·영주 / 하루 3회, 2시간 소요
○ 자가운전 정보
[서울-영양]중앙고속도로 서안동나들목→34번 국도→안동시내→청송군 진보면→31번 국도→영양군 입암면→영양읍, 중앙고속도로 풍기나들목→5번 국도→봉화읍→36번 국도→봉화군 법전면→31번 국도→봉화터널→영양터널→영양군 일월면→영양읍
[광주-영양]88올림픽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 서안동나들목→34번 국도→안동시내→청송군 진보면→31번 국도→영양군 입암면
[부산-영양]경부고속도로 영천나들목→영천시내→35번 국도→안동시 길안면→청송군 진보면→31번 국도→영양군 입암면→영양읍
○ 숙박정보
- 수하청소년수련원 : 수비면 수하리, 054)680-6425
- 검마산자연휴양림 : 수비면 신원리, 054)682-9009
- 아이엠모텔 : 영양읍 서부리, 054)683-0024
- 신라장여관 : 영양읍 서부리, 054)683-3284
- 궁전장여관 : 영양읍 서부리, 054)682-6964
- 목화장여관 : 영양읍 서부리, 054)683-1514
- 삼영모텔 : 입암면 신구리, 054)682-2157
○ 식당정보
- 맘포식당 : 영양읍 서부리, 한우불고기, 054)683-2339
- 장원가든 : 영양읍 서부리, 쌈밥, 054)683-1114
- 하얀비가든 : 영양읍 서부리, 산채정식, 054)682-3355
- 삼양식당 : 영양읍 서부리, 한식, 054)682-4700
- 실비식당 : 영양읍 서부리, 한우불고기, 054)683-2463
- 삼원가든 : 영양읍 서부리, 돌솥밥, 054)683-5858
- 해수궁 : 영양읍 서부리, 해물탕, 054)682-2005
- 동해횟집 : 영양읍 서부리, 회, 054)682-6800
○ 축제 및 행사정보
- 영양고추문화축제 : 9월, 고추아가씨 선발대회 등
- 웰빙영양일월산 산나물 한마당 : 5월, 산나물채취 체험 등
- 민속 원놀음 : 10월, 원놀음 시연 등
- 일월산 해맞이행사 : 매년 1월 1일, 일출 관람, 풍물놀이 등
○ 주변 볼거리
- 삼의계곡, 송하계곡, 수하계곡, 반딧불이생태공원, 천화사, 일월산 자생화 공원, 영양향교, 남자현지사 생가
(※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 새빨갛게 잘 익은 영양고추 말리기(사진제공 : 영양군청)
청정한 자연이 살아 숨쉬는 고장인 경상북도 영양군은 경북 내에서도 비교적 오지에 속하는 곳이다.
수도권에서 가자면 교통이 불편하고 내륙에 깊숙히 들어앉아 ‘육지 속의 섬’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산이 높고 골이 깊기에 ‘서리는 흔하고 햇빛은 귀하다’라는 소리도 들어왔다. 자연 조건이 그렇다 보니 요즘 같은 시대에 와서는 오히려 청정함을 자랑하는 웰빙의 고장으로 대접받기 시작했다.
경상북도 내에서 울릉군을 제외하고는 거주 인구가 2만여 명으로 가장 적다는 영양군은 첫인상부터가 강원도 오지를 닮았다는 느낌이다. 군내 이곳저곳 도로를 달려봐도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반드시 넘어야 하고 고도계는 평균 해발 5백m를 가리킨다. 이렇듯 악조건의 지형을 극복하고 소득을 올리기 위해 영양 주민들은 옛날부터 부지런히 고추농사를 지었다.
▲ 고추 수확에 여념이 없는 마을 주민들(사진제공 : 영양군청)
영양에서는 8월 초순이면 고추 수확이 시작돼 강렬한 태양 아래 건조되는 단계로 넘어가는데 이때는 영양 산천이 빈 곳 없이 붉은 빛으로 물든다.
영양읍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입암면의 선바위관광지 내에 위치한 영양고추홍보전시관을 만난다. 이 곳은 영양고추의 우수성은 물론 고추의 모든 것을 한 자리에서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공간이다. 홍보관, 테마관, 전시판매장 등으로 구성돼 있다. 홍보관은‘영양고추의 우수성’,‘영양의 고추축제’,‘영양고추를 만드는 사람들’이라는 주제 하에 다양한 전시물을 갖췄다. 테마관은‘고추이야기’,‘고추 재배의 변천 과정’,‘고추의 우수성’,‘생활 속의 고추’등으로 꾸며졌다.
▲ 주변 경관이 잘 꾸며져 있는 고추홍보전시관
상 세한 설명문을 담은 대형 패널, 아기자기한 고추음식 모형, 풍부한 사진 자료, 고추농사 모형, 여러 가지 고추 종자 등을 통해 관람객들은 짧은 시간에 영양 고추의 우수성을 이해하게 되고 고추 박사라도 된 듯한 기분에 젖는다. 영양고추홍보전시관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동절기에는 오후 5시) 개관하며 월요일에는 휴관하고 입장료는 없다.
이 전시관 맞은편에는 영양분재수석야생화전시관도 있다. 130여 점의 분재, 50여 점의 수석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야생화를 감상하기에 좋은 곳이다. 이곳 역시 입장료는 없다. 전시관 뒤편 마당에는 맨발 지압로가 만들어져 있고 반변천 위에 놓인 석문교라는 다리를 건너면 남이포 강변 정자까지도 산책을 다녀올 수 있다.
▲ 남이장군의 기백이 살아 숨쉬는 남이포
영 양읍내 북쪽에 자리한 일월면의 주실마을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는 영양고추유통공사가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영양군에서 생산되는 고추를 수매해서 첨단가공시설로 소비자 손에 들려질 명품고춧가루를 생산해낸다. 여기서 가공된 영양 고추는 ‘빛깔찬’이라는 브랜드로 전국에 유통된다. 외지에서 온 여행객들을 위한 관람로와 판매장도 곧 설치될 계획이다. 영양고추와 고추장 구입 문의는 영양고추 유통공사 외에 영양군청 농정과(054-683-2364)나 농협중앙회 영양군지부(054-683-2181)에서도 받는다. 고추 외에도 영양의 특산물로는 사과, 벌꿀, 산나물, 상황버섯, 더덕, 천마, 메주, 전통민속주인 초화주 등이 손꼽힌다.
▲ 승무, 고풍의상으로 유명한 조지훈을 기념하는 문학관 전시실
영 양고추홍보전시관과 영양고추유통공사를 들러본 다음 편안한 마음으로 영양의 명소들을 여행해보자. 문인들의 발자취를 만나보고 싶다면 시인 조지훈의 생가와 지훈기념관이 있는 일월면 주실마을, 시인 오일도의 생가가 남아있는 영양읍 감천마을, 소설가 이문열의 고향인 석보면 두들마을 등을 찾아 가본다.
▲ 몸과 마음이 편안해 지는 검마산 휴양림
낙 엽 떨어지는 산의 정취에 젖고 싶다면 일월산이나 검마산휴양림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해발 1,218m인 일월산은 산세가 웅장하고 거대하며 정상에서는 동해가 보인다. 해와 달이 솟는 것을 인근에서 가장 먼저 본다 해서 일월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정상 부근의 방송사 통신탑 입구에는 산령각과 황씨 부인당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까지는 시멘트 포장도로여서 자동차들이 올라갈 수 있다.
1997년 문을 연 검마산휴양림은 수비면소재지에서 10리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숙박시설인 산림문화휴양관(2동), 야영데크장, 상설텐트장, 등산로, 산책로, 체력단련시설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그밖에 천체 관측에 관심을 가진 여행객들은 영양반딧불이천문대(수비면 수하리 소재)를 찾아가보자.
1층은 천체투영실과 전시관으로, 2층은 다양한 망원경의 원리를 이해시키는 공간으로, 3층은 주관측돔과 보조관측실, 관망대로 구성되어 있다.
▲ 노란 단풍이 아름다운 서석지의 가을 풍경(사진제공 : 영양군청)
영 양군의 대표적 문화유적지는 입암면 연당리에 소재한 서석지. 4백년 된 은행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드리워주는 이곳은 보길도의 부용원, 담양의 소쇄원과 더불어 3대 한국 정원으로 손꼽힌다. 조선 광해군 때 성균관 진사를 지낸 석문 정영방선생이 조성한 민가 정원이다. 연못 주변에는 소나무, 대나무, 매화나무, 국화를 심어 선비의 지조를 상징한다.
서석지로 가려면 영양과 진보를 잇는 31번 국도상의 신구삼거리에서 연당리로 꺾어져 가야하는데 그 초입에서 선바위와 남이포라고 하는, 반변천이 만들어낸 멋드러진 지형을 감상할 수 있다. 동천과 반변천의 두물머리에 우뚝 솟아있는 기암이 선바위이고 이곳 강변을 남이포라고 부른다.
이밖에 입암면의 봉감모전5층석탑(국보 제187호), 현리3층석탑(보물 제610호), 화천리3층석탑(보물 제609호) 등과 입암면의 영양산촌생활박물관 등도 영양군 여행 시 들러볼만한 명소들이다.
●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영양군청 www.yyg.go.kr
- 검마산자연휴양림 www.huyang.go.kr
○ 문의전화
- 영양군청 문화관광과 054)680-6062, 6067
- 영양고추유통공사 054)682-9797
- 지훈문학관 054)682-7763
- 영양고추홍보전시관 054)682-6271
- 영양분재수석전시관 054)682-6070
- 영양반딧불이천문대(생태학교) 054)683-8685
- 영양산촌생활박물관 054)680-6046
○ 대중교통 정보
[ 버스 ]
- 서울 - 영양 / 하루 3회, 5시간 소요
- 대구 - 영양 / 하루 31회, 2시간 40분 소요
- 안동 - 영양 / 하루 38회, 1시간 30분 소요
- 봉화·영주 / 하루 3회, 2시간 소요
○ 자가운전 정보
[서울-영양]중앙고속도로 서안동나들목→34번 국도→안동시내→청송군 진보면→31번 국도→영양군 입암면→영양읍, 중앙고속도로 풍기나들목→5번 국도→봉화읍→36번 국도→봉화군 법전면→31번 국도→봉화터널→영양터널→영양군 일월면→영양읍
[광주-영양]88올림픽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 서안동나들목→34번 국도→안동시내→청송군 진보면→31번 국도→영양군 입암면
[부산-영양]경부고속도로 영천나들목→영천시내→35번 국도→안동시 길안면→청송군 진보면→31번 국도→영양군 입암면→영양읍
○ 숙박정보
- 수하청소년수련원 : 수비면 수하리, 054)680-6425
- 검마산자연휴양림 : 수비면 신원리, 054)682-9009
- 아이엠모텔 : 영양읍 서부리, 054)683-0024
- 신라장여관 : 영양읍 서부리, 054)683-3284
- 궁전장여관 : 영양읍 서부리, 054)682-6964
- 목화장여관 : 영양읍 서부리, 054)683-1514
- 삼영모텔 : 입암면 신구리, 054)682-2157
○ 식당정보
- 맘포식당 : 영양읍 서부리, 한우불고기, 054)683-2339
- 장원가든 : 영양읍 서부리, 쌈밥, 054)683-1114
- 하얀비가든 : 영양읍 서부리, 산채정식, 054)682-3355
- 삼양식당 : 영양읍 서부리, 한식, 054)682-4700
- 실비식당 : 영양읍 서부리, 한우불고기, 054)683-2463
- 삼원가든 : 영양읍 서부리, 돌솥밥, 054)683-5858
- 해수궁 : 영양읍 서부리, 해물탕, 054)682-2005
- 동해횟집 : 영양읍 서부리, 회, 054)682-6800
○ 축제 및 행사정보
- 영양고추문화축제 : 9월, 고추아가씨 선발대회 등
- 웰빙영양일월산 산나물 한마당 : 5월, 산나물채취 체험 등
- 민속 원놀음 : 10월, 원놀음 시연 등
- 일월산 해맞이행사 : 매년 1월 1일, 일출 관람, 풍물놀이 등
○ 주변 볼거리
- 삼의계곡, 송하계곡, 수하계곡, 반딧불이생태공원, 천화사, 일월산 자생화 공원, 영양향교, 남자현지사 생가
(※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ysl* 맛'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제약 타리온 (0) | 2009.08.13 |
---|---|
키라 (0) | 2009.05.02 |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식품 (0) | 2008.10.18 |
밑반찬 관련자료 (0) | 2008.10.12 |
사케 (0) | 2008.09.27 |
이자카야의 즐거움 (0) | 2008.09.27 |
‘먹을거리’를 지키는 농업․농촌 (0) | 2008.02.06 |
동해안 섭 요리 (0) | 2007.12.29 |
한국의 매운 맛 방송 콘티 제안 (0) | 2007.09.21 |
이태원 세골목집 맥주 (0) | 2007.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