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세상에 떠도는 수많은 느낌과 아이디어! 같은 느낌, 비슷한 생각.... 어때요? wizysl

카테고리

전체보기 (5130)
ysl* 아이디어 (346)
ysl* 사람들 (552)
ysl* ndns 내돈내산 (134)
ysl* 맛 (278)
ysl* 건강 (34)
ysl*sports (9)
ysl* 컨텐츠 (1829)
ysl* 트래블 (543)
ysl* 랭킹 (221)
ysl* 하드웨어 (377)
ysl*mobile (316)
맥HW (93)
맥SW (198)
맥Korea (81)
ysl*admin (10)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동아제약 타리온

ysl* 맛 / 2009. 8. 13. 22:40


약물명 타리온
투여방법 경구용
성분별 항히스타민제 성분 베실산 베포타스틴(bepotastine basilate) 10mg
제약사 동아제약
효능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두드러기, 피부질환에 수반된 소양증 (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양진)
용법/용량 통상, 성인에게는 Bepotastine besilate 1회 10mg(1정)을 1일 2회 경구투여합니다. 또한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하십시오.

====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강문석)이 알레르기성비염, 피부 질환의 새로운 2세대 항히스타민제제인 타리온 정을 2004년 발매했다. 

Bepotastine (Talion) is an antihistamine.[1] It was approved in Japa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nd urticaria/pruritus in July 2000 and January 2002, respectively, and is marketed by Tanabe Seiyaku Co., Ltd. under the brand name TALION. TALION was co-developed by Tanabe Seiyaku and Ube Industries, Ltd., who discovered bepotastine. In 2001, Tanabe Seiyaku granted Senju exclusive worldwide rights, with the exception of certain Asian countries, to develop, manufacture and market bepotastine for ophthalmic use. Senju, in turn, has granted the United States rights for the ophthalmic preparation to ISTA Pharmaceuticals, Inc., a specialty pharmaceutical company located in Irvine, CA.

일본 다나베 제약에서 2000년 허가를 받고 2002년부터 타리온(Talion)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타리온 정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중 가장 빠른 효과를 보이며 졸음과 부정맥 유발작용을 최소화했다고 동아측은 밝혔다. 베포타스틴은 일본 우베산업에서 발견하였는데 타리온을 다나베 제약과 공동개발한 것이다.

또한 Interleukin-5 생성억제로 코막힘에 높은 효과를 보이고, 간에서 대사되지 않아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타리온 정은 60정 포장에 기준가는 정당 280원이며 보험코드는 A01508041이다.


베포스타틴 구조. 4-[4-[(4-chlorophenyl)-pyridin-2-ylmethoxy]piperidin-1-yl]butanoic acid

===

  • 사용시 주의사항
  • 1.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 
    2) 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 
    3) 고령인 환자 

    3. 이상반응 
    임상시험에서 총증례 1446례중, 부작용이 137례(9.5%)보고되었다. 
    1) 전신신경계 : 졸음, 권태감, 두통, 두중감, 현기증 
    2) 소화기계 : 구갈, 구내건조, 설염, 오심, 구토, 위통, 위부불쾌감, 설사 
    3) 혈액계 : 백혈구수 변동, 호산구과다증 
    4) 간장 : AST(GOT), ALT(GPT), r-GTP, LDH, 총빌리루빈 상승 
    5) 신장 : 뇨단백, 뇨당, 뇨잠혈, 뇨우로빌리노겐 
    6) 피부 : 발진, 종창의 과민반응 

    4. 일반적 주의 
    1)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제 투여중의 환자에게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을 수반하는 기계조작등에 대해 주의시켜야 한다. 
    2) 장기간스테로이드요법을 받고 있던 환자로, 본제를 투여함에 따라 스테로이드제를 감량할 경우에는 충분한 관리하에서 서서히 한다. 
    3) 신장애환자에서 이 약의 혈중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될 우려가 있으므로, 저용량(즉, 1 회량 5mg)부터 투여하는 등,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감량, 휴약 등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4) 본제는 계절성 알러지성 비염환자에 대하여 연구되지 않은바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투여하는 경우에는 호발하는 계절을 고려하여 그 직전부터 투여를 개시하고, 호발하는 계절 종료시까지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본제의 사용에 의해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장기간 투여하지 않는다. 

    5. 상호작용 
    다른 항히스타민제와 마찬가지로 과량의 알코올과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6. 임부, 산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동물실험에서 태아로 이행됨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임부 또 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투여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 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동물실험(랫트)에서 모유중으로 이행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수유중인 부인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이하게 본제를 투여할 경우에는 수유를 피하도록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본제는 주로 신장으로 배설되며,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될 위험이 있어 본제를 고령자에게 사용할 경우 주의하여 투여한다. 

    9.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이 약은 알레르겐 피내반응을 억제하여 알레르겐 확인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피내반응검사 실시전에 이 약을 투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적용상의 주의 
    약제 교부시 PTP포장의 약제는 PTP시트에서 꺼내어 복용하도록 지도한다. (PTP시트를 잘못 삼켜서, 딱딱하고 뾰족한 부 분이 식도점막을 자극하여, 심각한 경우, 천공을 일으켜 종격 동염 등의 중대한 합병증을 일으킨 예가 보고되어 있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습기를 피하여 30℃이하에서 보관한다.
  • 저장방법
  • 실온(1~30℃) 보관

[참고자료]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131_UnifiedSearch/DrugSearchList.aspx?src=header&PageSearch=T&PageWord=%EB%B2%A0%ED%8F%AC%ED%83%80%EC%8A%A4%ED%8B%B4


'ysl* 맛'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미 마르땡 (Remy Martin) XO Premier Cru Grande 샴페인 코냑  (0) 2009.11.23
마늘 전성시대  (0) 2009.09.07
키라  (0) 2009.05.02
고지혈증 환자를 위한 식품  (0) 2008.10.18
밑반찬 관련자료  (0) 2008.10.12
사케  (0) 2008.09.27
이자카야의 즐거움  (0) 2008.09.27
‘먹을거리’를 지키는 농업․농촌  (0) 2008.02.06
동해안 섭 요리  (0) 2007.12.29
영양 고추 -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0) 2007.09.21
Posted by wizysl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