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 스트레인의 반은 인간, 나머지는 돼지(SI, swine influenza)와 조류(AI, avain influenza) 인플루루엔자 바이러스의 것이다.
헬스조선에 따르면 건강한 사람보다는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큰 집단에게 더 위험하다고 한다.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 등 백신이 존재하고, 위혐집단에서 감염되었을 경우 사용한다. 건강한 사람은 바이러스가 몸 안에 들어가지 않도록 (특히 눈, 코, 입) 잘 씻는 것이 중요하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 헬스조선 인용==
Q: 신종인플루엔자에 걸렸을 때 합병증을 유방할 가능성이 큰 위험집단에 해당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A: 천식, 기관지염,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 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사람, 심장병, 당뇨병, 만성적 대사질환, 신장이나 신경계, 혈액계에 질환이 있는 사람, 암이나 에이즈 환자 등 면역이 억제된 환자이다.
Q: 의료기관에서 의료진들이 모든 의심환자 진료시 N-95마스크와 Level D 개인보호복을 입어야 하나?
A: 아니다. N-95마스크와 Level D 개인보호복은 에어로졸 발생시와 같은 특별한 처치 시에만 착용한다.
Q: 외부로 배출된 신종인플루엔자 A(H1N1)는 얼마동안 생존이 가능한가?
A:
고체이고 딱딱하며 구멍이 없는 표면에서는 72시간까지 생존하지만 감염 위험을 일으킬 정도의 바이러스 양은 24시간까지만
생존한다. 그리고 옷이나 이불, 손수건, 책자 등 부드러운 물체의 표면에서는 12시간까지 생존하지만 감염 위험을 일으킬 정도로는
15분간만 생존 가능하다. 또, 일단 손에 바이러스가 묻으면 손에서는 5분 이하로 생존한다.
Q: 신종인플루엔자 A(H1N1)의 잠복기는 어떻게 되나?
A: 잠복기란 병원체가 몸에 들어온 시점부터 처음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을 말한다. 신종인플루엔자의 경우 대부분 2~3일, 최장 7일이다.
Q: 젊은이들이 신종인플루엔자 A에 더 위험한가?
A:
명확하게 젊은 연령층이 신종인플루엔자에 위험하다고 얘기할 수는 없지만 많은 환자가 발생한 미국이나 멕시코의 사례를 보면 계절
독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 환자와 사망자가 좀더 많이 발생했다. 그러나 이는 사람의 활동성에 따른 유행 초기
현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얘기할 수는 없다.
Q: 신종인플루엔자 치료는 어떻게 하나?
A:
보통 신종인플루엔자는 계절 독감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면서 집에서 쉬면 치유가 된다. 그러나
위험집단의 경우에는 반드시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 한다. 건강한 사람이나 위험집단에 해당돼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한 사람 중에서
복용 후 3일째까지도 열이 내리거나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일단 시·도별로 지정된 치료거점병원에 입원·격리되어야 한다.
Q: 타미플루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나?
A: 의사들이 처방이나 보건소장의 판단에 의해서만 사용한다.
Q: 신종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도 모유 수유할 수 있나?
A:
아기들에게 필요한 항체 전달 등을 고려할 때, 모유 수유를 지속하는 게 좋다. 다만, 수유 과정에서 아기 얼굴에 기침 혹은
재채기를 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손을 자주, 깨끗이 씻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유 과정에서 전파가 우려될 경우에는
분유를 먹이도록 한다.
Q: 수유 중에도 항바이러스제 복용이 가능한가?
A: 현재까지 연구 결과로는 항바이러스제제 복용 중인 수유부 모유에서 항바이러스 제제의 대사 물질이 검출되는지는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일단 미국 CDC에서도 계속 항바이러스제제를 복용하면서 수유도 계속 가능하다고 권고하고 있다.
[참고자료]
- Page name: Influenza A virus subtype H1N1
- Author: Wikipedia contributors
- Publisher: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Date of last revision: 17 August 2009 12:14 UTC
- Date retrieved: 17 August 2009 12:14 UTC
- Permanent link: http://en.wikipedia.org/w/index.php?title=Influenza_A_virus_subtype_H1N1&oldid=308467349
- Primary contributors: Revision history statistics
- Page Version ID: 308467349
헬스조선 온라인판. 2009.8.19일.
'ysl*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노웍스사가 제안하는 시스템 다이어리 활용법 (0) | 2009.09.05 |
---|---|
강아지의 날 (2) | 2009.08.27 |
나로우주센터 11일 준공식 (0) | 2009.08.26 |
빙고 카드 만들기 (0) | 2009.08.23 |
트위터 (4) | 2009.08.23 |
프로그램 언어의 변천사 (0) | 2009.07.13 |
출판기념회 순서(안) (0) | 2009.07.09 |
비행기 블랙박스 (0) | 2009.07.03 |
한국전쟁 (0) | 2009.06.25 |
구글 웨이브 (0) | 2009.05.30 |